소개글
"호주 다문화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호주의 다문화 정책
2.1. 백호주의에서 다문화주의로의 전환
2.2. 호주 다문화주의의 4대 원칙
2.3. 호주의 이민정착 프로그램
2.3.1.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
2.3.2. 성인이민자 언어프로그램
2.3.3. 번역 및 통역 서비스
2.4. 호주의 사회통합프로그램
2.4.1. 국가행동계획
2.4.2. 다양성과 사회결집 프로그램
2.4.3. 화합의 날
2.4.4. 화해 행동계획
2.4.5. 지역 사회통합 프로젝트
2.5. 다문화미디어 정책
3. 한국의 다문화 정책
3.1.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3.2. 보건의료정책
3.2.1. 임신부를 위한 보건서비스
3.3. 사회복지정책
3.3.1. 자녀양육지원
3.3.2. 사회보장제도
3.4. 교육정책
4. 한국의 긍정적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우리나라에 외국인 귀화 인구가 갈수록 늘어 2024년엔 공식 다문화 국가가 될 예정이다. 이렇듯 다문화 국가가 되면 다문화 사회에 적용할 다문화 정책의 중요성은 높아진다. 그러므로 그 나라에서는 다문화시대에 적합한 다문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현재 호주는 다문화시대에 가장 모범적인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렇다면 호주가 사용하는 다문화 정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이 리포트에서는 호주의 다문화 형성 배경과 호주의 다문화 정책을 알아볼 것이다.
2. 호주의 다문화 정책
2.1. 백호주의에서 다문화주의로의 전환
호주는 처음에 '백호주의' 정책을 펴면서 유색인종의 이민을 배격했다. 이 정책은 1901년 호주가 영국에서 독립되어 연방정부를 구성한 해에 공포된 '이민 제한법'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 정책의 목적은 호주의 백인인종 순수성 보전, 아시아의 값싼 노동력에서 호주 노동인구 보호, 그리고 아시아의 침략 가능성에 대한 호주국가 방어 등이었다. 또한 영어구술시험 등의 제도적 장치를 통해 유색인종을 배제하고 영국 백인 중심의 국가로 기틀을 마련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구증가인가 아니면 멸망인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인구번성의 필요성과 사회발전을 위한 노동력의 수요, 그리고 특히 인종차별에 대한 아시아 국가들의 반발과 원성으로 인하여 이민제한정책은 1950년대와 60년대에 단계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 1973년 새로 들어선 노동당 정부가 전격적으로 다문화주의를 공포하면서 백호주의 정책은 공식적으로 폐기된다.
하지만 호주를 영국계 국가로 지키려는 백호주의 정신은 여전히 많은 호주인들 마음속에 사라지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모습으로 계속 드러나왔다. 이후 정부는 계속하여 다문화와 이민정책에 대한 개편을 하고 2000년에는 이 정책들의 실천을 위한 다문화 호주위원회가 정부 안에 설치되어 다문화주의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2.2. 호주 다문화주의의 4대 원칙
호주 다문화주의의 4대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회 구성원들은 동등한 기회와 접근의 권리를 지녀야 한다"" 인종, 문화, 언어, 성별 등에 의한 차별 없이 모든 구성원들이 사회 참여의 기회와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모든 사람은 자신의 문화를 편견과 차별 없이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관용해야 한다"" 다양한 문화와 전통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이민자들의 욕구는 지역사회가 여러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충족시켜줘야 하며, 이러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에의 접근은 동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이민자들이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접근성을 균등하게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모든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수요자와 충분히 협의한 후에 계획되어야 하며, 이주민들이 빠른 시간 내에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이민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그들의 필요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조속한 자립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2.3. 호주의 이민정착 프로그램
2.3.1.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
호주 정부는 2011~2012년 예산에서 이민자 및 난민의 정착서비스를 돕기 위해 3천8백 50만 달러가 지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05년 도입된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은 이민자의 정착을 지원하는 비영리 기구, 이민지원센터나 정부서비스기관의 이민자 정착서비스에 대해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이민자와 난민이 도착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자립하여 호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난 5년 내에 인도주의 입국자, 영어 수준이 낮은 가족 초청 이민자, 지방에 정착한 영어 수준이 낮은 기술 이민자의 부양가족 등의 자격으로 입국한 영주자라면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호주 정부는 이민자와 난민이 호주 사회에 빠르게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정착 보조금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2.3.2. 성인이민자 언어프로그램
1948년부터 시작된 성인 이민자 영어 프로그램은 자격 있는 이민자에게 기본적인 영어 수업을 최대 510시간까지 제공하고, 특별 교육이 요구되는 인도주의 ...
참고 자료
(노기옥 외 4인, 『문화 다양성 사회와 건강』, 수문사, 2019, p163~p166)
(성연옥, 2013)
(신재주, 2010)
(정상우, 다문화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법제 연구.(2011) [국립 중앙도서관 연계] 문화체육관광부 발간자료, 0-0.)
(정상우, 호주의 다문화주의 정책과 법, p86~p88, p93, 최신 외국 법제정보 2008 제10호)
(조성은 외 3인,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방송 통신 중장기 정책 방향 연구, 정책 연구 12-46, 2012.12, p86~89, p99~p100)
(Willard, 1967; clake, 2002)
(“내년 인구 감소 시작··· 4년 뒤엔 ‘다문화 국가’”, 연합뉴스 TV, 2020년 10월 16일 수정,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0640?did=1825m, 연합뉴스TV, 2020년 10월 28일 접속)
(송정아, “한호일보", 하모니 날 (Harmony Day), http://www.hanho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45873, 2015.11.12 수정, 2020.10.30. 접속)
("유네스코와 유산", 2020년 10월 28일 접속, 오스트레일리아의 죄수 기록, https://heritage.unesco.or.kr/%EC%98%A4%EC%8A%A4%ED%8A%B8%EB%A0%88%EC%9D%BC%EB%A6%AC%EC%95%84%EC%9D%98-%EC%A3%84%EC%88%98-%EA%B8%B0%EB%A1%9D/)
(호주의 하모니 데이, 다문화 사회의 가치를 인식하다, 2012.03.28. 수정, 2020.10.30. 접속, KOFICE, http://kofice.or.kr/c30correspondent/c30_correspondent_02_view.asp?seq=9618) 2012.03.28수정, 2020.10.30. 접속, KOFICE,)
(2020.10.31. 검색,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ome Affairs”, Multicultural affairs, https://www.homeaffairs.gov.au/mca/Pages/australian-multicultural-council.aspx)
("spectrum", Services, https://spectrumvic.org.au/service/, 2020.10.31 검색)
호주 다문화 사회와 재호 한인동포 – 양명득 (학술지명 : 在外韓人硏究(Studies of Koreans Abroad) / 2010년)
다문화정책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임동진 ( 한국행정연구원 / 2011년)
다문화의 이해와 건강 – 김성혁, 안옥희, 최혜정, 박연숙, 백선숙, 전미순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