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국장로교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국장로교회
1.1. 초기 개척지와 장로정치
1.2. 장로교회 설립과 서명 논쟁
1.3. 대각성운동
1.4. 독립전쟁과 장로교도
2. 미국 장로 교회사
2.1. 프런티어 선교와 통합 계획
2.2. 신학 교육과 선교 운동
2.3. 진보와 보수의 대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국장로교회
1.1. 초기 개척지와 장로정치
프로테스탄트들은 교회 내부의 개혁에 전념하느라 선교에 주력하지 못했으나, 17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신대륙에 이민하여 교회를 세우고 생활의 반경을 넓혀 나아갔다. 복음적인 프로테스탄트의 신대륙 이민 운동은 16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는데, 주로 프랑스의 위그노, 네덜란드의 바다거지들, 영국의 청교도, 스코틀랜드의 장로교도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위그노들이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버지니아 초기 개척자들은 1607년 5월 24일 신대륙에서 첫 성찬 예배를 드린 후 버지니아 헌장을 채택했다. 버지니아 식민지가 이와 같이 청교도적인 신앙을 요구하게 된 것은 초기 목회자들의 영향이다. 버지니아의 "자신을 부정하는 사도"로 불린 알렉산더 휘태커는 칼빈주의적 신앙고백서인 「램버스 신조」를 초안한 인물로, 1611년에서 1617년 사이 버지니아의 제임스 강가 정착촌에서 사역했다. 이민자 가운데 가장 괄목할 만한 이들은 1620년 늦가을 플리머스에 도착한 분리주의적 청교도들이었는데, 이들은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뉴잉글랜드로 왔으며, 1630년대 신대륙에 이민한 다수의 비분리주의적인 청교도와 구별하기 위해 필그림 또는 분리주의적인 청교도라고 불렸다. 분리주의자들은 지역 교회의 자율을 강조하며 모든 교직자와 교회 사이의 평등을 주장했지만, 교회 연합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반면에 대부분의 청교도들은 영국교회 안에 남아 교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비분리주의자들의 이민 계획은 1625년 장로교 목사 존 화이트에 의해 구상되었는데, 이들은 성경에 근거하여 거룩함과 정의가 다스리는 개혁된 정부와 교회를 세우고자 했다.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온 세상의 왕이며 구주라고 믿었고, 그의 말씀은 구속함을 받은 성도와 불신자들에게까지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1.2. 장로교회 설립과 서명 논쟁
영국인들이 버지니아와 뉴잉글랜드에 정착하면서, 많은 프랑스인들도 신대륙에 진출하였다. 루이 14세가 1685년 낭트 칙령을 폐지하고 위그노들을 박해하자, 위그노들은 뉴잉글랜드, 뉴욕, 버지니아, 조지아 등으로 이주하였고 1687년 찰스타운에 최초의 위그노 교회를 설립하였다. 이들은 칼빈주의적 교리와 교회 정치체제를 채택하여 장로교 운동을 전개하였다.
스코틀랜드인들의 이민도 16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크롬웰이 투옥한 일부가 뉴잉글랜드에 유배되면서 이민이 시작되었고, 제임스 2세의 박해로 많은 사람들이 이민하였다. 그밖에 독일 계통의 장로교들, 아일랜드인들도 다수 이민하였다.
이렇게 많은 이민자 가운데 신대륙에서 최초의 장로교회를 세운 사람은 리처드 ...
참고 자료
J. Kortering, 개혁주의 유산으로서 시편찬송(장수민 역), {진리와 학문의 세계} 제 16권, 2007년 봄호
Reimer A. Faber, 공예배에 있어서 시편찬송가와 찬송가에 대한 개혁자들의 견해, 진리의 깃발 통권 84호
오영걸, 교회음악 개론, 작은 우리, 2000
김은주, 존 칼빈의 교회 음악관과 제네바 시편 연구, 총신대학교대학원 석사 논문, 1990
John Calvin, Preface to the Genevan Psalter 1543.
칼빈의 시편 주석 서문, 1557
김은주, 상게서
J. Kotering, 상게서
John Knox, The First Book of Dicsipline, 1560, repr. 1972, The Saint Andrew Press, Edinburgh
John Murray, 공 예배시에 사용될 음악에 대한 총회 보고서, 1947
존 칼빈, 히브리서 주석, Eerdmans, Grand Rapids, 1974
존 오웬, 히브리서 강해, Thomas Tegg: London, 1840
E. J. Young, The Book of Isaiah, William Eerdmans Publishing Company, vol. 3,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