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약물중독 중환자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성인간호학
2.2. 약물 중독
2.3. 중환자실
3. 약물 중독에 대한 문헌고찰
3.1. 약물 중독의 정의 및 원인
3.2. 약물 중독의 병리적 기전
3.3. 약물 중독의 진단
3.4. 약물 중독의 증상 및 치료
3.5. 약물 중독의 간호
4. 간호과정
4.1. 간호 사정
4.2. 간호 진단
4.3. 간호 목표 및 계획
4.4. 간호 중재
4.5. 간호 평가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성인간호학과 약물중독, 중환자실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약물 중독은 고의 또는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이다. 학령기 이전의 소아에서는 가정 내 물질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이 가장 흔하며, 이는 대부분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한 경우이다.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 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독물을 섭취하면 중요한 기관이 손상을 입는다. 알칼리와 산성제제가 부식성 중독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약과 알코올을 동시에 섭취하거나 장기간 음주한 후 치료약을 복용하면 약물의 농도를 높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 유발성 효소에 의해 대사에 영향을 받는 치료약들은 더욱 강한 독성 대사산물로 변하여 간이나 기타 장기·조직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병력상 어떤 약물에 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며, 약물에 따라 혈액 혹은 소변 검사를 통해 중독된 약물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다. 노출된 약물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형적인 증상에 따라 대증적인 처치를 하게 된다. 응급 상황에서 약물의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경우가 드물고,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약물 중독 진단에 있어 병력과 임상증상이 더 중요하다.
약물 중독의 경과와 합병증으로는 호흡 억제로 인한 사망, 심혈관계 질환 발생, 부정맥, 대사성 산증, 간부전 등이 있다. 각각의 약물 중독에 따라 대증적인 처치와 특이 해독제 투여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중증 중독의 경우 중환자실에서의 집중 관찰과 인공호흡기, 혈액 투석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약물 중독이 회복된 후에는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는다.
예방을 위해서는 가정 내 화학물질과 약물의 관리가 중요하며, 의도적 약물 복용의 경우 그 원인이 된 우울증 등의 문제를 치료하고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살 시도가 있었다면 정신과 전문의의 평가와 치료,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2. 본론
2.1.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은 성인기의 건강과 질병 관리에 대한 간호를 다룬다. 성인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성숙한 단계로서 독립적이고 자기 결정권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성인 간호 시 대상자의 자율성과 의사결정 능력을 존중하며, 대상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 대상자의 건강 문제로는 만성질환, 급성질환, 중증질환, 노화 관련 질환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성인간호학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 대상자에게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성인기는 생애주기상 가장 활동적인 시기로, 성인 간호 시 대상자의 삶의 질과 독립성 향상을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 대상자는 가족, 직장, 사회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하므로 이를 고려한 간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성인간호학은 성인 대상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2. 약물 중독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이다. 학령기 이전의 소아에서는 치료적 약물이 아닌 가정 내 물질(비누, 화장품 등)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Nontoxic exposure or ingestion)'이 가장 흔하며, 이 경우 대부분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한 경우이다.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 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독물섭취의 경우, 부식성 중독에는 알칼리와 산성제제가 있으며, 약과 알코올을 동시에 섭취하거나 장기간 음주한 후 치료약을 복용하면 경쟁적으로 간의 약물대사효소를 경쟁적으로 저해하여 약물의 농도를 높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므로 예상하지 못한 약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 유발성 효소에 의해 대사에 영향을 받는 치료약들은 독성이 더욱 강한 대사산물로 변하여 간이나 기타 장기·조직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약물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력상 어떤 약물에 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며, 약물에 따라 혈액 혹은 소변 검사를 통해 중독된 약물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도 있다. 노출된 약물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형적인 증상에 따라 대증적인 처치를 하게 된다.
응급 상황에서 약물의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경우가 흔하지 않고, 병원의 사정에 따라 검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 중독을 위한 검사는 병력 및 임상적인 증상에 비해 그 가치가 떨어진다. 하지만 약물 농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약물 중독의 경과 및 합병증을 살펴보면,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에 중독되었다면 호흡 억제에 의한 작용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콜린성 약물에 중독된 경우에도 호흡근이 약화되고 기관지 분비물 증가로 호흡을 제대로 하지 못해 사망할 수 있다. 교감신경계 항진제 중독은 건강한 사람에서도 심근 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여 사망할 수 있고, 부정맥, 대사성 산증, 간부전 등 약물에 따라 특이적인 기전으로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약물에 대한 급성 중독이 회복된 후에는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약...
참고 자료
정신간호총론, 임숙빈 외, 수문사, 2017
성인간호학1, 김금순 외, 수문사, 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외, 현문사, 2012
기본간호학 1,2, 송경애 외, 수문사, 2016
송봉재 외, 2008, 수술 전 불안 측정을 위한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설문의 임상적 적용,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24 277-283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저자 김강미자, 김금자 등, 현문사(2006.03.15)
[네이버 지식백과]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吸引性 肺炎] (두산백과)
성인간호학, 저자 조정숙, 김희경 등, 현문사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저자 성미혜, 홍영혜, 수문사(2015.03.0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저자 차영남, 장효순 등, 현문사(2013.03.08)
약학정보원
[네이버 지식백과] 폐렴(성인) [pneumonia]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핵심 건강사정, 저자 권소희, 권수혜, 김묘경 등, 수문사(2017.09.01.)
성미혜 외(2008)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 수문사
송미순 외(2012) / 진단적 검사와 간호 / 현문사
채한정 외(2016) / 알기쉬운 약리학 / 의학교육
경농 http://www.knco.co.kr/
산청 농업기술센터 http://www.knco.co.kr/
네이버 건강beta http://health.naver.com/diabetesSpecial/list.nhn
응급 및 재해간호/1999.08.30/이옥철,이헌근,문미숙/현문사
응급처치 매뉴얼/2013.03.18/강수진,공하성,김진회 외/수문사
성인간호학/2004.02.07/서문자,이항련,이정희 외/수문사
중환자간호/2004/김금순 외 11명/군자출판사
중환자의학/2006/대한중환자의학회/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