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약총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구약총론의 정의
1.2. 구약총론의 역사
2. 본론
2.1. 구약성경의 접근방법(Paradigm)
2.2. 구약성경의 영감
2.3. 영감의 범위
2.4. 영감의 방식
2.5. 영감의 결과
2.6. 구약의 정경
3. 결론
3.1. 요약
3.2.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구약총론의 정의
구약총론의 정의는 성경 총론의 가장 넓은 의미에 있어서 성경의 내용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준비가 되어야 할 학과와 모든 연구들을 말한다. 따라서 구약총론은 구약 내용의 연구와 해석의 어떤 예비적 제목들을 취급하는 과학이나 학과이다. 또한 구약총론은 일반 총론과 특수 총론으로 나누어지며, 일반 총론은 정경과 본문과 같은 성경 전체에 관계된 제목들을 취급하고, 특수 총론은 성경의 각 부분이나 하나 하나의 책에 관한 문제들을 취급한다.
1.2. 구약총론의 역사
초대 교회 교부들은 과학적 총론과 같은 문제들에 대하여는 관심이 없었으며, 주로 성경 내용의 주석과 교리의 작성에만 치중하였다. 그러나 그들도 때로는 총론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총론을 처음으로 취급하였다는 책은 아마도 어거스틴의 "De Doctrina Christiana"(기독교의 교리에 관하여)이었을 것이다. 이 책은 해석 문제에 관한 가치 있는 재료를 가지고 있으며, 어거스틴 자신은 이것을 "praecepta tractandarum sripturarum"(성경 취급 규정)이라고 불렀다. 아드리안의 "Eisagoge eis yas theias graphas"(성경 총론)은 성경 용어의 특징들과 성경의 형태를 고려하면서, 역사적인 것과 예언적인 것을 구별하고 예언적인 형태를 말씀과 환상 그리고 상징적인 행동들로 분류하였으며 해석에 관한 견해들도 기술하였다.
중세기 말엽에는 성경 총론의 연구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1566년에 출판된 식스터스(Francis of Sierre)의 성문고(Bibliotheca Sacra)는 성경 문학의 역사와 특별히 해석 역사를 강조하려고 노력한 책이다. 그리고 1624년에 카펠루스(L. Cappellus)의 Arcanum punctataionis revelatum(모음 기호의 비밀적 계시)이 나타나면서 히브리어 본문의 모음이 본래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인정받게 되었다. 1627년에 신교 학자인 리베투스(Rivetus)는 성경 전체에 대한 총론을 출판하였는데, 그의 영감 도리는 너무나 고상해서 특수 총론의 문제들을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고상한 성경 영감 도리를 지지한 것은 동부 프리슬란드의 루터파 총 감독인 발테르(M. Walther)였으며, 그는 일반 총론과 특수 총론을 분명히 구별한 최초의 사람인 것 같다.
종교 개혁 이후에는 철학적인 견해와 함께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계몽의 시대로서 성경에 대한 합리주의적 비평적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8세기 말 아이히혼(J. G. Eichhorn)이 쓴 구약 총론에 있어서는 보다 진보적 영향의 비평적 견해를 지니고 있었으며 구약의 초자연적인 성격에 대해서는 참된 이해를 표시하지 않았다. 그의 저작은 성경을 더욱 더 히브리인들의 국민 문학으로 생각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 왔으며 성경을 연구하는 것은 그에 의해서 더욱 무시를 당하였다. 19세기에 나온 많은 총론들은 구약이란 단지 사람의 책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책과 같이 취급해야 한다는 가정 아래서 기록되었다.
20세기에는 궁켈(H. Gunkel, 1862-1932)과 그레스만(H. Gresssmann, 1877-192...
참고 자료
「구약총론」글리슨L.아처, 김정우, 김은호 공저(기독교문서선교회2002)
「구약총론」에드워드J.영, 홍반식, 오병세 옮김(개혁주의신행협회2006)
「구약개관」윌리엄S.라솔, 데이비드 앨런 허바드, 프레드릭 윌리엄 부쉬, 박철현 옮김(크리스찬 다이제스트2006)
「최신구약개론」레이몬드 딜러드. 트렘퍼 롱맨, 박철현 옮김
(크리스찬 다이제스트2004)
「김정우의 구약통전」김정우 저(이레서원 2003)
「자유주의 신학의 이단성」김효성 저(옛신앙 2008)
「현대교회문제」김효성 저(옛신앙 2007)
「구약신학의 주제」장일선 지음(대한기독교서회 1993)
트램퍼 롱맨, 레이몬드 딜러드 저, 최신 구약개론,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9
기독지혜사 편집부 저, 호크마주석, 기독지혜사 2013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IVP 2010
최종태 저, 구약개론신학, 선교횃불, 2011
마크 알란 포웰 저, 신약개론, CLC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