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로서 한국어 표현교육의 중요성
외국어로서 한국어 표현교육의 중요성이다.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한국어의 문법이나 구조를 익히는 것을 넘어 실제로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의 구조와 문법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표현 교육은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문적인 지식을 배우는 것을 넘어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실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교육하기 위한 과제 수행 중심 교육이 필요하다. 과제를 통해 학습자는 이해한 내용을 실제로 연습하고 사용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표현 교육에서는 과제 중심 교육이 더욱 필요한데, 이는 과제 수행을 통해 언어 지식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실생활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연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기능을 연습할 수 있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국어로서 한국어 표현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과제 수행 중심 교수법이 효과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과제 중심 교수법의 필요성
과제 중심 교수법의 필요성이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교수하는 데 언어의 구조, 문법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표현 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과제를 통해서 학습의 과정에서 이해한 내용을 연습하고, 실제로 사용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과제 수행을 통해 언어 지식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과제 수행을 통해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연습할 수 있다. 셋째, 과제 수행을 통해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기능을 연습할 수 있다. 넷째, 과제 수행을 통해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과제 중심 교수법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Nunan의 과제 구성 요소
Nunan의 과제 구성 요소이다. Nunan에 따르면 과제는 목적, 입력, 활동, 환경, 교사의 역할과 학습자의 역할 등 총 6가지의 구성 요소를 갖고 있다. 과제의 목적은 학습자가 특정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수행되며,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가 입력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과제 수행을 위한 활동이 구체화되어야 하고, 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이 설정되어야 한다. 교사와 학습자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과제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Nunan의 과제 구성 요소에 따르면 과제 설계를 위해서는 이 6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과제 중심 교육이 가능하다. [1]
2. 초급 말하기 과제
2.1. 과제 유형: 사회적 의사소통 과제
초급 말하기 과제: 사회적 의사소통 과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는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초급 단계에서는 사회적 의사소통 상황에 필요한 표현을 교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마트에서의 물건 구입하기와 같은 상황을 선정하여 초급 말하기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필요한 물건의 위치를 묻고 구입할 수 있는 표현을 익힐 수 있다.
우선 마트와 관련된 시각 자료를 제시하여 복잡한 환경 속에서 필요한 물건을 찾는 표현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모범 대화문을 활용하여 물건의 위치를 찾는 표현을 사전에 익히도록 한다. 이후 실제 상황을 가정한 역할극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점원과 손님이 되어 필요한 물건의 위치를 묻고 구입하는 과정을 연습할 수 있게 한다. 역할극 후에는 활동 과정에서 어려운 점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부족한 표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한국의 화폐 단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물건 구입과 관련한 확장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급 말하기 과제는 Nunan(1989)이 제시한 과제 구성 요소인 목적, 입력, 활동, 환경,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역할 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의사소통 상황을 실제적으로 연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2.2. 초급 과제: 물건 구입하기
마트에서 필요한 물건의 위치를 묻고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이다. 마트와 관련된 시각 자료와 모범 대화문을 활용하여 물건의 위치를 묻는 표현을 학습하고, 점원과 손님의 역할극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필요한 물건을 찾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화폐 단위를 아는 등 물건 구입과 관련된 내용을 추가로 학습한다. 먼저 마트에 갔던 경험을 나누고 모범 대화문을 통해 물건 위치를 묻는 표현을 익힌다. 그 후 점원과 손님의 역할을 정해 직접 물건 위치를 찾고 물건을 구입하는 역할극을 진행한다. 역할극 후에는 어려웠던 점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으며, 화폐 단위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를 통해 실제 마트에서 필요한 물건을 찾아 구입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마트에 관련된 시각 자료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