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실습 루이소체 치매 사례 연구 및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치매에 대한 이해
1.3. 루이소체 치매의 특징
2. 문헌고찰
2.1. 루이소체 치매의 정의
2.2. 병태생리
2.3. 증상
2.4. 진단
2.5. 경과 및 합병증
2.6. 치료
2.7.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력
3.2. 간호사정
3.3.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4.1. 연구결과 요약
4.2. 실습 경험 및 느낌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체 인구 중에서 노인 인구 비율이 점점 높아지는 고령화 현상에 따라 치매도 증가하여 오늘날 주요 국민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노령과 추세대로 가면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 수가 2030년에는 약 127만명, 2050년에는 약 271만 명으로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치매는 만성적인 정신 질환으로 가족에게 주는 부담과 고통 때문에 현재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2014년에 실시된 국내 치매 인식도 조사에서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은 치매(43%)로, 나이가 들수록 암보다 치매를 더 무서운 질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 환자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루이소체 치매 환자의 사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2. 치매에 대한 이해
치매란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이 상실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치매를 '뇌 질환으로 생기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대개 만성적이고 진행성이며,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과 관련된 뇌 피질기능 장애'라고 정의하고 있다. 인지기능의 장애는 흔히 정서조절, 사회적 행위 및 동기화 등의 문제를 동반한다. 치매 환자들 중 약 3.8%가 루이소체치매로 진단되며,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루이소체치매 환자는 병의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지만,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치매보다는 일반적으로 진행이 빠른 편이다. 루이소체치매 환자는 평균적으로 치매 진단 후 2년 뒤에 운동증상(파킨슨증)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에서보다는 운동증상이 경미하지만 약물치료의 효과는 적은 편이다. 임상적으로 루이소체치매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3.72년으로 보고되어 있다.
1.3. 루이소체 치매의 특징
루이소체 치매는 진행성 인지장애 및 광범위한 신경 정신병적 증상 및 운동 증상을 수반하는 장애이다. 루이소체치매는 호산성 세포질내 봉입체(루이체)가 대뇌에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이체 치매의 핵심적인 증상은 인지기능 저하, 환시, 렘수면행동장애, 파킨슨증이 있다. 그 밖에 불안정한 자세, 반복적인 낙상, 실신, 심한 자율신경계 이상(변비, 기립성 저혈압, 요실금, 성기능장애), 과다수면, 후각 감퇴, 환각, 구조화된 망상, 기분 장애(우울증 등)도 동반된다. 루이체 치매 환자의 대뇌 피질 신경세포 내부에서는 알파-시뉴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침착되어 도파민 시스템에 이상을 가져와 형성되는 루이체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집중력, 집행 능력, 시공간 능력의 인지기능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특히 기억력의 저하는 진행 과정에서 뒤늦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하루 중 인지기능의 변동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도 루이체 치매의 특징이다.
2. 문헌고찰
2.1. 루이소체 치매의 정의
루이소체 치매는 알츠하이머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치매의 원인 질환이다. 루이소체치매 환자의 대뇌 피질 신경세포 내부에서는 알파-시뉴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이 침착되어 도파민시스템에 이상을 가져와 형성되는 루이소체가 관찰되어 이와 같은 병명을 가지게 되었다. 일중 변동이 있는 인지기능 저하, 환시, 렘수면행동장애, 파킨슨증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치매 환자들 중 약 3.8%가 루이소체치매로 진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2. 병태생리
루이소체 치매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들인 '루이소체'가 신경세포들을 죽이면서 진행된다. 어떠한 원인으로 시누클린이라는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루이체가 만들어진다. 루이체가 뇌 겉질(피질)에 축적이 되면 치매 증상을 먼저 일으키는 루이체 치매가 발생하며,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세포들이 모여 있는 중뇌에 루이체가 축적되면 이들 세포들이 죽으면서 파킨슨병이 발생한다. 루이체 치매와 파킨슨병은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알파신뉴클레인'이라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축적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이지만, 엄연히 다른 질환으로, 특히 루이소체 치매 환자에게도 파킨슨병 증상이 동반되지만,...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루이소체치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_ , 2023.02.14.
대한치매학회, GDS, https://www.dementia.or.kr/general/bbs, 2023.02.18
보건복지부지정 노인성치매 임상연구센터, http://public.crcd.or.kr/Info/Dimentia/LewyBody, 2023.02.13.
부부한의사, K-MMSE, https://blog.naver.com/pnukmed10/80190451295. 2023.02.18.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1, 171~172p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364~380p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2023.02.18.
우미영 외 공저, 「정신건강간호학」, 수문사, 2022, 301~317p
윤은자 외 공저, 「9판 개정 성인간호학Ⅱ」,수문사, 2021, 1232~1237p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263~393p
중앙치매센터, 루이체 치매,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4.aspx?gubun=0403 , 2023.02.13.
중앙치매센터, 치매 환자 수,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2.aspx?gubun=0201 , 2023.02.18.
질병관리청 건강정보,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3070000 , 2023.02.22
기관제공 욕구사정 평가지(공단보고용)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개정판, 현문사 , 김강미자 외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상권(제8판).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하권(제8판). 현문사
양선희 외(2021). 기본간호학 ⅠⅡ.현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질환백과 루이소체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