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람보카바이러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람보카바이러스의 개념과 정의
1.2.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병태생리
1.3.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양상
2. 본론
2.1.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2.2.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2.3. 보카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급성 기관지염
2.4. 보카바이러스 감염 환아의 간호
2.5. 보카바이러스 감염 예방
3. 결론
3.1. 보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이해 및 관리의 중요성
3.2. 향후 보카바이러스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람보카바이러스의 개념과 정의
사람보카바이러스는 파보비리데 과(parvoviridae family)에 속하는 단일 가닥 DNA 바이러스이다. 이 바이러스는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으며, 호흡기 및 장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까지 4가지 종류가 발견되었으며, HBoV1은 주로 호흡기 검체에서, HBov2는 주로 분변에서 검출된다. 보유자 또는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및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소아와 성인 모두 발병할 수 있다. 다만 연령이 높을수록 병원체 분리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보카바이러스 감염은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겨울이나 봄에 더 많이 분리된다. 전염기간은 증상이 있는 질병 동안이며, 잠복기는 1~4일이다.
1.2.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병태생리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 침입하면 숙주 세포에 부착하고 자신의 유전물질을 주입하여 숙주 세포의 기능을 교란시킨다. 보카바이러스 역시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감염이 진행된다. 보카바이러스는 인체 내에서 주로 상기도와 하기도, 그리고 장관계에 감염을 일으킨다. 보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숙주 세포에서는 바이러스 복제가 진행되고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바이러스 입자들이 숙주 세포 밖으로 배출되면서 주변 세포로 감염이 확산된다. 이 과정에서 숙주 면역세포가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이 유발되며, 이로 인해 기도와 장관 점막에 부종과 삼출이 발생한다. 또한 기도와 장관 상피세포 손상으로 분비물 배출이 어려워지는데, 이는 호흡 곤란과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처럼 보카바이러스 감염은 숙주 세포 침입에서 시작하여 염증 반응 유발과 조직 손상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1.3.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양상
보카바이러스 감염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데, 주로 상기도 및 하기도 감염증이 발생한다. 상기도 감염증으로는 발열, 기침, 콧물 및 가래가 가장 흔하며, 천명, 코막힘, 두통, 호흡곤란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위장관 감염증으로는 구토, 설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소아와 성인 모두 발병하나 연령이 높을수록 감염률이 낮아진다.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겨울이나 봄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잠복기는 1~4일 정도이며, 증상이 지속되는 기간은 질병에 따라 다양하다. 보카바이러스 감염은 경우에 따라 천식 발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본론
2.1. 보카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보카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검체 채취와 유전자 검출검사가 필요하다. 검체는 인후도찰물, 비인두도찰물, 비강흡인물, 비인두흡인물, 객담 등을 활용한다. 이러한 검체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보카바이러스의 표적 유전자를 확인함...
참고 자료
질병관리 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www.cdc.go.kr
최신 병원 미생물학, 김영권외 공저,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3판)
아동간호학 수문사 1,2 (10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KIMS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s://www.kimsonline.co.kr
박호란 외 공저, 『근거기반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 현문사, 2020, 212-215
차영남 외 공저,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NANDA』, 현문사, 2019 53, p.129-131, p.205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20, p.231-281
성미혜 외 공저,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2020, p.325-40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DDDDD0426, (2021.12.1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102300027, (2021.12.1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00A0154, (2021.12.1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0699, (2021.12.1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62, (2021.12.14.)
약학정보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44850&cid=51000&categoryId=51000,
(2021.12.14.)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크룹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353&cPage=2&DP_CODE=AAPD&MENU_ID=004008 (2021.12.15.)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titleh.mw.go.kr/ (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