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5월~10월이 되면 본격적인 농사철 및 야외활동 시기가 되는데, 이때 논이나 밭에서 일을 하다가 또는 등산이나 잔디 위에서 야외활동을 하다가 교상(bite)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상(bite)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치명적일 수 있어 교상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교상 발생 후 당황하거나 민간요법을 사용하며 질환이 더욱 악화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연구자는 교상(bite)의 정의와 종류, 합병증, 응급처치, 교상을 예방하는 방법, 치료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2. 교상의 정의와 종류
교상은 사람을 포함하여 동물의 치아에 물리거나, 치아에 의해 발생한 피부에 직접적 손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교상에 의한 상처는 겉보기에 작은 상처라도 이빨이 찍힌 상처라 좁고 깊은 상처가 생길 수 있어 근육, 인대, 혈관 및 신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개나 동물의 입안은 세균 등으로 파상풍 및 기타 감염에 걸릴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독사에 의한 것은 가장 위험하여 출혈 ·용혈 이외에 신경계가 침식을 받아 사망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살무사가 대표적인 독사이다."" 한편 독사와 독사가 아닌 뱀과의 구분은 외형 차이를 통해 관찰 경험이 적은 일반인의 경우 판단하기 쉽지 않으므로, 교상 후의 증상 및 징후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판단한다.""
2. 병태생리
2.1. 뱀독의 구성성분
뱀독은 1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뱀독의 주요 성분은 단백질(효소, 비효소성 폴리펩티드 독소, 비독성 단백), 금속 이온, 탄수화물, 핵산, 아민, 지질, 소량의 유리 아미노산 등이다. 이 중에서 특히 단백질 성분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단백질 성분에는 효소와 비효소성 폴리펩티드 독소가 포함되어 있다. 효소성 단백질에는 단백질 분해효소, 핵산 분해효소 등이 있으며, 이러한 효소들은 혈액, 심혈관계, 호흡계, 신경계 등에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한편 비효소성 폴리펩티드 독소도 혈관 내피세포 손상, 혈액응고 장애, 신경독성 등의 작용을 나타낸다. 이처럼 뱀독의 다양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2.2. 뱀독의 작용기전
뱀독의 작용기전은 다음과 같다. 뱀독은 약리학적으로 활성화된 혼합체로 가장 복잡한 자연독소이다. 뱀독은 100여 가지 이상의 단백질(효소, 비효소성 폴리펩티드 독소, 비독성 단백 등), 금속 이온, 탄수화물, 핵산, 아민, 지질, 소량의 유리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 속의 뱀이라도 지역, 종, 계절, 먹이에 따라 뱀독의 성분과 비율이 다르다. 독사의 독에는 Cytotoxin, Neurotoxins, Myotoxins, Hematoxin 등 다양한 독이 섞여있어 서로 상승 작용을 일으켜 독성을 증가시킨다.
뱀독의 기전은 다음과 같다. 물렸을 때 주입되는 독소의 양에 따라 중독의 정도, 혈액검사 소견과 중독에서 회복되는 시간이 달라진다. 뱀독의 성분은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부종, 혈액응고기능 장애, 조직의 괴사와 신경독성을 유발한다. 즉, 뱀독은 혈관 내피 손상, 부종, 저혈성 쇼크를 유발하는 Peptide와 단백분해효소, 조직손상을 유발하는 L-amino acid oxidase, 조직을 통한 독의 확산을 일으키는 Hyaluronidase, 그리고 RBC와 근육세포에 손상을 주는 Phospholipase A2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인해 다양한 독성 작용을 나타낸다."
3. 증상 및 징후
3.1. 국소증상
독사에 물린 환자에게 나타나는 국소 증상은 다음과 같다.
교상 부위에서 즉시 발생하는 동통은 90%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이는 뱀독의 화학적 성분과 기계적인 물림 자체에 의해 발생한다. 교상 후 30분 이내에 관찰되는 연부 조직의 부종은 작은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후 계속해서 진행되어 수 시간 동안 심해질 수 있다. 장액성 또는 출혈성 수포는 교상 후 수 시간 내에 발생할 수 있다.
국소 림프절 종대와 교상 부위의 온열감도 관찰될 수 있다. 교상 부위를 넘어 반상 출혈이 3-6시간 경과 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증상들은 뱀독의 직접적인 작용에 의한 것으로, 주로 cytotoxin, hemorrhagin, proteolytic enzyme 등의 성분에 의해 유발된다.독사에 물린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전신 증상은 다음과 같다.
호흡 곤란, 빈맥, 시야 혼탁, 안검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