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파라 인플루엔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Case 선정 이유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세균성 폐렴
2.1.2. 비세균성 폐렴(바이러스성 폐렴)
2.2. Case Study
2.2.1. 환자 소개
2.2.2. 간호 과정
3. 결론
3.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3.2. 실습 소감
4. 부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Case 선정 이유
실습지에 방문하여 재원 환자 현황을 보는데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이 pneumonia와 atopic dermatitis 두 가지였다. 그 중에서도 pneumonia 환자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그 안에서도 mycoplasma pneumonia와 parainfluenza virus pneumonia 환자로 나뉘었다. 처음에는 나 역시 아토피를 앓고 있기에 atopic dermatitis 환자를 잡고 case study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아토피 환자의 경우 나이가 너무 어려 환자와 의사소통이 쉽지 않을 것 같아서 아토피에 비해 어느 정도 나이대가 있는 pneumonia 환자를 선택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많은 pneumonia 환자 중에서 이OO을 대상자로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지속되는 severe fever 이었다. 다른 pneumonia 환자는 열이 아예 없거나, 있어도 mild fever 정도에 그치는 반면, 이 대상자는 38도를 웃도는 severe fever 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열이 심하게 발생할 때에는 매우 무기력해 보이고, 땀을 많이 흘려 온 몸이 축축하고 환의까지도 젖을 정도였다. 뿐만 아니라 기침도 꽤 심하게 하는 편이었는데, 한 번 기침을 하기 시작하면 기본적으로 30분 이상은 지속적으로 기침을 했다. 대상자의 이러한 증상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상황을 놓고 봤을 때 이 대상자를 통해 pneumonia 라는 질환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간호를 면밀히 observation 하면 pneumonia 환자를 간호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해 공부하기에도 좋을 것이라 판단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렴은 일부 사람들이 지역 사회, 병원 또는 장기 치료 시설에서 폐에 감염되는 질환이며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은 기침, 재채기, 접촉으로 인해 감염자에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전파된다.
세균성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이며, 이외에도 haemophilus influenza, staphylococcus aureus, gram negative bacili 등이 원인이 된다. 세균성 폐렴의 주요 증상으로는 가래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기침, 쉽게 느끼는 피로감, 발열, 오한, 심한 떨림, 두통, 근육통, 복통 등이 있다.
세균성 폐렴의 진단을 위해서는 문진, 신체검사, 영상의학검사, 혈액검사, 객담검사 등이 이루어진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참고 자료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pneumonia : https://medlineplus.gov/pneumonia.html
Ortega, S. M., & Suárez, M. L. (2011). Pneumonia: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Nova Science Publishers, Inc.
S. Chowdhury, A. B. M. S. U. Doulah, M. Rasheduzzaman and T. S. Rafa, "Pediatric Pneumonia Diagnosis: Integration of a Self-Assembled Digital Stethoscope with Raspberry Pi and 1D CNN Model," (2024)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
감염병포털. 2018년 급성호흡기감염증 관리지침_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서울아산병원.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Parainfluenza infection)
아동건강회복간호. 김미예 외. 수문사. 2018
아동건강증진간호. 김미예 외. 수문사. 2018
신생아건강간호. 김미예 외. 수문사. 2018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6
김진선 외, 영유아 어머니의 기저귀 발진에 대한 지식 및 기저귀 관리 실태, 한국아동간호학회지. (2019). p.119
강혜숙, & 윤오복. 소아응급실을 내원한 환아 보호자의 미온수 마사지 경험실태.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0). p.67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6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성미혜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