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양원 기관소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요양원 기관소개
2.1. 선정기관
2.2. 선정할 실천 현장의 요건
2.3. 노인 요양원의 개관
3. 방문 기관에 대한 정보 요약·정리
3.1. 기관 소개
3.2. 기관의 서비스 제공현황
4. 방문 소감 및 비평
4.1. 국가 사회복지사업에서 방문 기관의 역할
4.2. 해당 분야에서 요구하는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나의 적성 여부
4.3. 인상적인 내용과 기관 현황에 대한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실천 현장은 사회복지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기관으로, 클라이언트와의 대면 서비스를 통해 실천 활동이 이루어진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요양원과 같은 노인 돌봄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노인 요양원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사례로 소개하고, 해당 기관이 지닌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 요양원은 중풍, 치매 등 노인성 질환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다. 요양원은 국가의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통해 재정을 지원받으며, 의료·복지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요양원 운영에 있어 인력 부족과 저질의 서비스, 학대와 위생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을 통해 요양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입소 노인들의 인권과 삶의 질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요양원 기관소개
2.1. 선정기관
대구 가톨릭 요양원은 1995년 대구시 치매센터 설립법인으로 선정되어 시설인가를 받았고, 1997년에 개원하였다. 2006년에는 시메온의 집을 개원하였고, 2008년에는 대구가톨릭치메센타 부설단기보호센터를 개원하면서 장기요양보험의 지원을 받는 장기요양시설로 거듭났다. 요양원은 어르신의 안전보호자, 성장도우미, 배움의 기쁨을 누리며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밀알이라는 미션을 가지고 있으며, 요양보호의 최고 서비스기관을 목표로 업무환경을 개선하며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관이 되고자 하며, 행복을 창조하는 터전, 성장하는 직원이 되도록 지원하는 비전을 가지고 어르신 요양에 최선을 다하는 센터를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2.2. 선정할 실천 현장의 요건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기관의 기능 혹은 목적, 기관을 설립한 주체 및 기관의 재원조달방식, 서비스 제공 방식, 주거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본 보고서 탐방 대상이 되는 기관은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1차 현장이며, 서비스 기관, 생활시설이어야 한다.
1차 현장은 클라이언트와 대면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아동복지관, 노인 요양원 등의 기관이다. 이들은 사회복지사가 직접 클라이언트와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2차 현장은 기관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의료사회사업, 교정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 읍면동사무소의 사회복지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참고 자료
대구 가톨릭 요양원(홈페이지 http://cdcdc.co.kr/)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nhis.or.kr/)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http://www.longtermcare.or.kr/npbs/)
정범길, 『건강보험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이해와 활용』, 밥북, 2017.
정재욱, 『고령화시대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대영문화사, 2015.
최재성, 『노인요양원과 문화변화』, 집문당, 2015.
2019. 제4기 시 지역사회보장계획 2019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한국도 한국복지재단. 2020 한국노인복지비전수립 연구
강혜규・박세경・함영진・이정은・김태은・최지선・김보영・John Hudson・Aniela Wenham. 2016. 사회보장 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성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16-37,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방안」, 2005.2.22.
민소영. 2015. “한국의 사례관리 전개 과정과 쟁점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1) : 213~239.
보건복지부. 2015. 2015 희망복지지원단 사업안내.
https://ghcare.bohun.or.kr/main.asp
2021.05.19/뉴스데스크/MBC
2018.12.15/그것이 알고싶다/SBS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50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