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시편 23편 주해 레포트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5.05.26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시편 23편 주해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시편의 용도
2.2. 시편 23편의 저자
2.3. 시편23편의 기록연대와 역사적 배경
2.4. 시편 23편의 주제별 장르 및 특징
2.5. 시편23편의 구조
2.6. 시편 23편의 신학: 언약의 관점에서 본 시편 23편
2.7. 시편 23편 각절 주해
2.7.1. 1절 주해
2.7.2. 2절 주해
2.7.3. 3절 주해
2.7.4. 4절 주해
2.7.5. 5절 주해
2.7.6. 6절 주해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에티오피아의 어떤 번역 선교팀이 심혈을 기울여 새로운 신약 번역본을 출간하였는데 몇 권 팔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듬해에 시편을 번역하여 신약성경과 함께 엮어서 출판하게 되었는데 신약성경만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르게 성경이 '불티나게' 팔리게 되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시편에 무슨 힘이라도 있는 것일까? 신학수업시간에 늘 배워온 것처럼 오경이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말씀'이라면 이와 다르게 시가서는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아르바함 조슈야 헤셀은 그의 책 『예언자들』에서 '향신성'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쉽게 말하자면 시편에는 한 인간이 그의 일상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슬픔, 절망, 억울함, 환희'와 같은 모든 감정에 대한 솔직한 인간적 고백이 거울처럼 고스란히 그 안에 담겨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필자도 마음의 답답함을 느끼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손길이 닿는 성경이 바로 시편이다. 시편의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시대를 초월해서 현대인들의 정서에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위안과 힘을 주는 것은 아닐까? 더구나 시편은 단지 감성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적이다. 인간 정서에서 시작하지만 결국 독자로 하여금 하나님께 대한 신앙으로 반응하도록 돕는다. 시편보다 현대인들의 정서생활에 좋은 책이 있을까? 이번 시편 23편의 주해를 통해 세상 속에서 고뇌하고 있는 현대 신앙인들에게 주는 하나님의 따뜻한 어루만져주심의 보화를 캐내어 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시편의 용도

시편의 용도는 일반적으로 매주 안식일에 드려지는 대중예배의 한 중요한 부분이었다. 유대문헌 '미쉬나'에는 유월절 축제와 예루살렘 성전봉헌 때 불렀던 노래인 '힐렐'이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시편 113-118편이 큰 명절의 예배예식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편 전체가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거나 사용되었다는 근거는 없다. 다만 시편들은 성전 예배순서에 사용되도록 지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2. 시편 23편의 저자

학자들은 '다윗의'(dwId:l)라는 표제에서 전치사 레(l)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다윗의 저작권(다윗의 의해), 소유권(다윗에게 속한), 수혜자(다윗을 위한)를 가리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윗'이라는 이름 역시 다윗 왕가의 왕을 가릴 킬 수도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서 6절의 '여호와의 집'을 성전으로 가정하고 다윗이 성전건립 이전 사람이라는 근거로 다윗저작권을 부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호와의 집'이라는 명칭은 '회막'을 지칭하는데도 쓰였다.

또한 다음과 같은 사실을 고려했을 때 다윗이 시편 등 중에 많은 것을 작성했다는 전통적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첫째, 다윗은 시편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음악지식을 가진다는 것이다. 둘째, 다윗은 깊은 감정과 풍부한 상상력을 가진 시인이라는 것이다. 셋째, 다윗은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목자, 용사, 왕, 음악가, 죄인, 도망자). 넷째, 다윗을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자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특별히 그가 목자로서의 경험을 가졌다는 것은 시편 23편의 '다윗 저작설'에 그 힘을 실어 준다. 시편 23편의 이러한 표제 자체를 다윗이 직접 기록하지는 않았겠지만 최기의 신빙성 있는 전승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신약성경의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시편 인용에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편 23편이 그의 저작임을 부인하는 주장은 힘이 잃는다.


2.3. 시편23편의 기록연대와 역사적 배경

시편 23편의 기록 연대를 확실히 확인할 길은 없다. 다만 학자들은 여러 가지 추정을...


참고 자료

이상근.『시편 주해』. 대구: 성등사, 1997.
박윤선.『구약성경주석: 시편』. 서울: 영음사, 1989.
강병도(편). 호크마 성경주석: 시편』. 서울: 기독지혜사, 1992.
이태훈.『시편,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울: 성서유니온, 2010.
강병도(편).『카리스 종합주석(43)』. 서울: 기독지혜사, 2011.
편찬위원회.『그랜드 성경주석(8): 욥기⸳시편』.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3.
김정우.『히브리 시학과 해석학(2011강의안)』.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11.
윤혜진. 『하나님의 이름, 예배 그리고 음악』.
서울: 예일 신학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2.
아브라함 J. 헤셸.『예언자들』.이현주 역. 서울: 삼인, 2004.
트럼퍼 롱맨 3세.『시편 Ⅰ, Ⅱ』. 임요한 역. 서울: CLC, 2017.
에드워즈 영.『구약총론』. 홍반식 역. 서울: 한국개혁주의 신행협회.
디모데 래니액.『양을 돌보는 참 목자』.
김재성 역. 용인: 킹덤북스, 2013.
어니스트 루카스.『시편과 지혜서』.
박대영 역. 서울: 성서유니온, 2008.
J. 스코트 듀발⸳ J. 다니엘 헤이즈.『성경해석』.
류호영 역. 서울: 성서유니온, 2009.
롤프 A. 제이콥슨⸳ 칼 N. 제이콥슨. 『시편으로의 초대』.
류호준⸳방정렬 역. 서울: 대서, 2014.
팔머 로벗슨.『계약신학과 그리스도』.
김의원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2.
레이몬드 딜러스⸳ 트럼퍼 롱맨.『최신구약개론』.
박철현 역.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존 칼빈. 『구약성경주석(7):여호수아 Ⅱ, 시편 Ⅰ』.
존칼빈 성경주석번역위원회.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0.
트럼퍼 롱맨 Ⅲ. 『어떻게 시편을 읽을 것인가?』.
한화룡 역. 서울: IVP, 2002.
Leupold, H. C. 『반즈 성경주석: 시편(상)』.
명종남 역. 서울: 크리스챤서적, 1995.
존 윌튼 외 3명 지음. 『IVP 성경배경주석』.
김세윤 역. 서울: IVP, 2010.
시편 23편: 그 아름다움과 은혜, 김정우, 신학지남 Vol.64, No.2, 1997.
김정우, 『시편주석 I』, 총신대학교출판부, 2005피터 그레이기, 『WBC, 시편』, 솔로몬, 2000J.A.모티어, G.J.웬함, D.A.카슨, R.T. 프란스, 『IVP 성경주석』, IVP, 2010졸 월튼, 빅터 매튜스, 마크 샤발라스, 크레이그 키너, 『IVP 성경배경주석』, IVP, 2010목회와신학 편집부, 『How, 시편1』, 두란노 아카데미, 2008김이곤,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시편 I』, 대한기독교서회, 2007크로스웨이 ESV 스터디 바이블 편찬팀, 『개역개정 스터디 바이블 ESV 시편』, 부흥과개혁사, 2014바이블웍스 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