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동맥류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1.2. 연구 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2.3. 증상과 징후
2.4. 진단방법
2.5. 치료
2.6.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3.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뇌동맥류 질환은 뇌출혈의 가장 주된 원인이며, 머릿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5%가 뇌동맥류에 걸리고 있으며, 매년 인구 10만 명당 10-20명이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뇌동맥류 파열로 인해 30%의 환자들이 사망하는 등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뇌동맥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성인간호학 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아 보편적으로 알려진 질병이 아니다. 또한 신경외과 병동에서 실습하면서 많은 뇌동맥류 환자들을 접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와 치료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로서 임상에서 적절한 간호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사례의 연구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2021년 11월 26일까지 총 5일간 연구하였으며, 전남대학교병원 신경외과 6B병동의 뇌동맥류 대상자를 관찰하고 전남대학교병원 EMR, 성인간호학 교과서,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사이트, 네이버 간호학대사전 등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1,2,3]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뇌혈관의 내측을 이루고 있는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고 결손되면서 혈관벽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를 뇌동맥류라고 한다. 대부분 크기는 10mm 이하이지만 간혹 그보다 큰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25mm 이상인 경우 특별히 거대 동맥류라고 지칭한다. 동맥류는 형태에 따라 낭상동맥류, 방추상동맥류, 해리성 동맥류로 구분된다. 낭상동맥류는 윌리스고리와 그 구성 혈관의 분지부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원반형을 하고 있으나 비대칭적으로 자라서 이실형 혹은 다실형을 이루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방추상동맥류는 동맥이 전체적으로 늘어난 형태로 발생하며, 해리성 동맥류는 동맥 체간에서 갑작스럽게 파열되어 발생하고 내탄성판의 광범위한 분열의 병리학적 소견을 보인다.
2.2. 원인
뇌동맥류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만 동맥 분지부나 근위부에 주로 발생하는 것을 근거로 하여, 혈역학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후천적으로 혈관벽 내에 균열이 발생하여 동맥류가 발생하고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로 40대에서 60대 사이에 흔히 발생하며 약 20%에서는 다발성 동맥류가 발견되고 있다. 또한 혈관에 염증이 있거나 외상으로 혈관벽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유전적으로 혈관벽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다. 뇌동정맥기형이나 모야모야병과 같은 뇌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동반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흡연, 고혈압 또는 마약류 사용이 뇌동맥류를 발생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지만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다.
2.3. 증상과 징후
뇌동맥류는 유증상환자의 약 90%에서 뇌동맥류 파열 시 '뇌지주막하출혈...
참고 자료
뇌동맥류의 병태생리/ 김범태, 황선철, 임수빈, 신원한/ 대한뇌혈관외과학회지 Vol. 10 No 1, page 301-306/ 2008.0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수정판)/ Meg Gulanick, Juith L. myers/ 현문사/ 2019.08.12.
성인간호학2/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박연환, 류은정, 박영미, 백명화, 손덕옥, 최자윤 외 공저/ 수문사/ 2021.02.25.
김금순 외(2017년), 성인간호학Ⅱ 여덟째판,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국가건강정보 포탈 http://health.mw.go.kr/Main.do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전남대학교 LMS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기본간호학회 http://www.kafn.or.kr/
이은희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특별시(주) 고문사 217-308p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 http://www.kdca.go.kr/npt/biz/npp/nppMain.do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asan/main.do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index.aspx
조선대학교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