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닭과 병아리 비교해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발생과정 이해의 필요성
1.2. 실험 대상 동물의 특성
1.2.1. 아프리카 발톱개구리
1.2.2. 닭
1.2.3. 사람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실험 재료
2.2. 실험 방법
3. 결과
3.1. 아프리카 발톱개구리 배아 발생 관찰
3.2. 닭 배아 발생 관찰
3.2.1. 24시간 배아
3.2.2. 48시간 배아
3.2.3. 96시간 배아
4. 논의
4.1.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와 닭의 발생과정 비교
4.2. 사람 발생과정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4.3. 실험의 한계 및 개선점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생명체 발생과정의 공통성 이해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발생과정 이해의 필요성
발생과정 이해의 필요성이다. 생명체의 발생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동물의 발생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하면 생명체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생과정에 대한 이해는 질병이나 기형 등의 생물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물체의 발생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생명체 발생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생명체의 발생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1.2. 실험 대상 동물의 특성
1.2.1. 아프리카 발톱개구리
아프리카 발톱개구리는 모델 동물 중 하나이다.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크기는 약 12cm 가량이며, 주로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발가락에 발톱이 있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성체는 황토색 또는 초록색의 얼룩무늬를 가지며, 성체가 되어서도 물 속에서 생활한다. 또한, 호르몬 주사를 통해 인공 배란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자주 사용된다.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배아는 크기가 크고, 독립적으로 산란되기 때문에 관찰이 용이하다.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자는 동물반구와 식물반구로 나뉜다. 동물반구는 더 검은 빛을 띠고, 식물반구는 노란 빛을 띤다. 식물반구에는 난황이 존재하는데, 이 난황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난할을 방해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식물반구에 존재하는 할구는 동물반구에 존재하는 할구보다 크기가 더 크다.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할은 20분 간격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마다 발생한다. 이때 세포의 성장은 거의 없이 분열만 일어나기 때문에 세포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난할이 끝날 무렵에는 세포 덩어리 내부에 빈 공간인 포배강이 형성된다. 이 시기의 세포들을 포배기에 있다고 표현한다.
포배기가 되면 중배엽과 내배엽의 주변에 marginal zone이 관찰된다. 그리고 blastopore의 형성으로 dorsal lip이 접히면서, 배아의 내부로 세포가 말려들어가는 회절이 일어나며 낭배형성기로 넘어간다. 이때 형성된 원장은 소화관이 되고, yolk plug가 dorsal lip에 둘러싸인 채로 관찰된다. 이후 neurulation이 일어나면서 neural tube, neural fold, neural plate, neural groove 등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neural tube는 뇌 또는 척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발생 과정이 모두 끝났을 때, 기관이 형성된 올챙이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1.2.2. 닭
닭은 서로 다른 성을 가진 두 개체가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는 양막류의 조류이다. 닭의 배아 발생과정은 포유류와 유사하지만 관찰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닭의 수정란은 난관을 지나면서 단단한 껍질이 형성되며, 노른자와 흰자로 구성되어 있다. 노른자는 발생과정에서 배아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아는 노른자 위에 존재하는 blastoderm에서 발생하며, blastoderm에는 불투명대와 투명대 사이에 koller's sickle이 존재한다.
koller's sickle에서 원조가 형성되며, 원조가 점점 길어지면서 중배엽과 내배엽이 만들어진다. 원조의 끝 부분에 존재하는 헨센결절에서 세포 재이동이 일어나 머리, 신경판, 체절 등이 형성된다. 따라서 닭의 발생과정은 primitive streak 형성, 헨센결절에서의 세포 재이동 등의 특징을 가진다.
닭의 발생과정은 포유류와 유사하지만 일부 차이점이 있다. 닭은 난생동물로 태반이 없으며, 수정 후 알로 산란되어 그 위에서 발생이 진행된다. 또한 닭의 난할은 불완전 난할의 특징을 가져 원반 모양으로 세포가 배열된다. 이에 비해 포유류는 완전 난할이 일어나며 모체 내에서 발생이 진행된다.
닭의 발생과정은 척추동물의 대표적인 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배아 발생 단계에 따라 머리, 체절, 신경관, 시각기관, 운동기관 등이 순차적으...
참고 자료
Wolpert, L. et al., (1998) Principles of development. P113-7
Gilbert, S.F. (1997) Developmental Biology. 11th edition. p380
HAMBURGER, Viktor; HAMILTON, Howard L. A series of normal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ck embryo. Journal of morphology, 1951, 88.1: 67,92.
박헌우; 신영준; 신동훈; 박형용, 생물실험연구, Experiments for Biology Education - 10. 닭의발생, RISS 공개강의, p1
두산백과 용어사전
Neil A. Campbell (2021), Biology A Global Approach, 12th, Pearson, pp. 728~730
Takashi Mikawa (2004), Induction and patterning of the primitive streak, an organizing center of gastrulation in the amniote, Bioessays, 31(8): 892~900
장수철, 강두나, 전상학 (2008), 닭 발생 관찰을 통한 양막류 발생의 이해, 현장과학교육, 2(1) pp. 67~76
Sadava, Hills(2018), Life: The science of biology, 11thedition, 라이프사이언스, P917-928
Reece, taylor, (2005), Campbell biology, 7th edition, pearson, p534-535
https://www.vcbio.science.ru.nl/en/virtuallessons/embryology/chicken-48h/ (accessed 2021.11.01)
장수철, 강두나, 전상학(2008), 닭 발생 관찰을 통한 양막류 발생의 이해, 현장과학교육 2권 1호, 67-7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