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1.1. 신생아 황달 광선치료 과정
신생아 황달 치료를 위해 광선요법이 시행되는데, 이는 신생아의 피부와 혈액 내 축적된 빌리루빈이 빛에 노출되어 그 형태가 변하면서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치료법이다. 신생아의 피부와 혈청 내 빌리루빈 농도가 감소하면서 황달이 호전되는 것이다.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는 전신을 완전히 노출시켜 피부 전체가 균일하게 빛에 닿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기저귀나 옷을 완전히 벗기고 양측 다리와 생식기 부위는 별도의 가리개로 덮는다. 또한 눈 보호를 위해 불투명한 안대를 착용시킨다. 광선요법 중에는 2시간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하여 골고루 빛을 받도록 한다.
빛과 신생아 간 거리는 20cm 이상 유지하여 화상을 예방하고, 425-574nm 파장의 푸른빛 램프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신생아의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젖은 기저귀나 배설물로 인한 추가적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광선요법 중에는 수유 시마다 치료를 중단하여 고체온, 화상 등의 부작용을 예방한다. 또한 보호자에게 광선요법 과정과 부작용 예방법, 피부 관리법 등을 충분히 교육하여 질병과 치료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낸다.
1.2. 광선요법의 부작용 및 합병증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는 피부 손상, 망막 손상, 탈수 등의 부작용과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다. 우선,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 손상은 피부 건조, 태지 소실, 낙설, 각질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강한 빛에 의해 피부가 타거나 짓무르는 것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눈 간호를 위해 사용하는 안대의 잦은 교체로 안대 부착 부위에 낙설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강한 빛에 의한 망막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망막이 손상되는 것으로, 일시적 시력 저하나 영구적 시력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선요법 중에는 불투명한 안대를 사용하여 눈을 보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광선요법은 신생아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피부 수분 손실을 증가시켜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생아는 체중 감소, 피부 건조,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의 활력징후와 피부 상태,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탈수를 예방해야 한다.
이처럼 광선요법은 신생아에게 다양한 부작용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1.3. 광선요법 중 피부 관리와 보호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는 피부 손상의 위험이 높다.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부를 관리하고 보호한다.
우선, 2시간마다 신생아의 체온을 측정하여 과도한 체온 상승을 방지한다. 광선요법은 신생아의 체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체온 조절이 중요하다.
또한, 기저귀 교환 시마다 기저귀 발진 증상과 대변 양상을 관찰한다. 광선요법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묽은 녹색 빛나는 변은 회음부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안대 적용 부위와 뼈 돌출부위, 접힌 부위 등 압박이 가해질 수 있는 부위의 피부 상태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이를 통해 피부 손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할 수 있다.
한편, 경피적 중심정맥 도관 삽입 부위의 감염 징후 유무도 함께 모니터링한다. 주사 부위의 발적, 부종, 통증 등이 있는지 관찰하여 감염 예방에 힘쓴다.
이 외에도 광선요법 시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고 눈과 생식기를 가리는 등 직접적인 피부 손상 예방 조치를 취한다. 또한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실시하여 골고루 광선을 쬐이게 하고, 젖은 기저귀는 신속히 교체하여 피부 자극을 줄인다.
이처럼 간호사는 다각도로 신생아의 피부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함으로써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1.4. 광선요법 과정에서의 간호중재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의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사는 다양한 중재를 수행한다. 먼저, 전신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광선치료의 부작용과 효과를 관찰한다.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상승으로 인한 탈수 위험을 확인한다. 기저귀 교환 시 기저귀 발진 증상과 대변 양상을 관찰하여 광선요법의 부작용을 확인한다.
안대 적용 부위의 피부 상태와 접힌 부위, 뼈 돌출부위의 피부 상태를 사정하여 압박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또한 주사 부위의 감염 징후를 모니터링하여 감염을 조기에 발견한다.
피부 손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피부를 보호하는 환경과 물품을 제공한다. 기저귀 발진 부위에 외용제를 도포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광선요법 시 눈과 생식기를 가리고 광선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손상을 예방한다. 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여 압박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젖은 기저귀를 즉시 교체하여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손싸개를 착용시켜 손톱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제대 간호와 눈 간호를 매일 시행하여 해당 부위의 감염을 예방한다. 수유 시 흘러나온 우유가 피부에 고이지 않도록 턱받이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와 보호자에게 간호사는 교육을 제공한다. 안대 착용 이유, 광선요법 필요성, 기저귀 관리법 등을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협조를 구한다. 퇴원 후 기저귀 발진 관리법도 교육하여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