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SG 트랜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SG 개념
1.1. ESG의 정의
1.2. ESG와 지속가능한 투자의 차이
1.3. ESG 동향
2. ESG 경영전략
2.1. ESG 경영의 장애물
2.2. ESG 경영의 해결방안
3. ESG 투자
3.1. 국민연금의 ESG 투자 현황
3.2. ESG 투자의 문제점
3.2.1. ESG 평가 기준의 불명확성
3.2.2. ESG 투자 연구의 한계
3.2.3. ESG 투자의 규제적 효과
4. ESG 사례
4.1. 스포츠 ESG 경영 사례
4.2. 기업의 ESG 경영 사례
4.2.1. Brewdog의 ESG 경영 사례
4.2.2. 자동차 충전소의 ESG 경영 사례
5. ESG 경영의 장기적 영향
5.1. ESG 경영과 기업 가치
5.2. ESG 경영과 사회적 가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ESG 개념
1.1. ESG의 정의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ESG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윤리적 영향을 평가하는 프레임워크로서, 기업 운영 및 비즈니스 관행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ESG의 "E"는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탄소 배출량, 천연 자원 사용, 생물 다양성 등이 포함된다. "S"는 기업의 사회적 영향을 보여주며, 여기에는 노동 기준, 인권, 지역사회 참여, 다양성 등이 포함된다. "G"는 기업의 지배구조와 관련된 요소로, 경영진 보상, 이사회 구성, 주주권리, 재무 보고의 투명성 등을 포함한다.
ESG 기준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윤리적 관행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ESG 요소를 우선시하는 기업은 위험 관리, 우수한 인재 및 고객 유치, 장기적 가치 창출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ESG 관행 개선을 통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1.2. ESG와 지속가능한 투자의 차이
ESG와 지속가능한 투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며, 이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책임을 평가하는 프레임워크이다. ESG 투자란 이러한 ESG 요소를 반영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즉, ESG 투자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까지 고려하여 투자하는 것이다.
반면, 지속가능한 투자는 ESG보다 먼저 등장한 개념으로, 수익성보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을 우선시하는 투자 방식이다. 지속가능한 투자는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투자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더 중요하게 여기며, ESG 투자보다 규범적이고 당위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ESG 투자는 기업의 장기적인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즉, ESG 요소를 고려하여 투자할 경우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ESG 투자는 사회적 책임과 수익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지속가능한 투자가 규범적이고 당위론적인 접근 방식이라면, ESG 투자는 기업의 장기적인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주목하는 실증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3. ESG 동향
ESG 동향은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 요소에 대한 기업의 책임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기후변화, 환경오염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기업의 환경적 영향과 이에 대한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기업은 탄소배출, 자원 사용, 생태계 보호 등 환경 관련 성과를 개선해야 할 압력을 받고 있다. 2015년 파리협정 채택 이후 국제사회는 기업의 환경영향 개선을 위한 다양한 규제와 정책을 마련해왔다.
둘째, 사회적 불평등, 인권 침해, 노동 문제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기업은 이해관계자인 근로자, 고객,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개선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해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더욱 강조되었다.
셋째,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 공정성, 윤리성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권리 보호,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 뇌물 및 부패 방지 등 기업 내부의 의사결정과 운영 프로세스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기관투자자들이 ESG 요소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함에 따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감시와 압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처럼 ESG 동향은 기업이 단순히 이윤 극대화가 아닌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변화된 사회적 기대를 반영한다. 기업은 이러한 ESG 요소를 경영전략에 통합하여 장기적인 가치 창출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나가야 할 것이다.
2. ESG 경영전략
2.1. ESG 경영의 장애물
ESG 경영의 장애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ESG 평가 기준의 불명확성이다. ESG 평가는 각 국가와 기관마다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객관성과 투명성이 부족하다. 국내의 경우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서스틴베스트, 대신경제연구소 등이 기업의 ESG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평가 등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에 MSCI는 B등급을 부여했지만 KCGS는 A등급을 부여했다. 국민연금 역시 새로운 한국형 ESG 평가기준을 도입하고자 하고 있는데, 이렇듯 표준화되지 않은 ESG 평가 지표로 인해 기업과 투자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ESG 경영의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다."둘째, ESG 투자 연구의 한계이다. ESG 투자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존재하지만, 부정적 또는 중립적인 결과도 상당수 있다. 특히 ...
참고 자료
유인식, “ESG 경영 현황 및 전망”, KEITI, 2021
유일한, “ESG 경영에 대한 이해와 HR의 대응방안”, 지방공기업평가원, 2022
정병기, “스포츠, ESG 경영을 논하다”, 대한체육회 홍보실, 2021
강원, 정무권, 「ESG 활동의 효과와 기업의 재무적 특성」, 『한국증권학회지』 49권, 2020.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 「제 4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장기재정전망 결과」, 2018.
박혜진, 「글로벌 ESG투자의 최근 동향과 주요 논점」, 자본시장연구원, (2020.03.03.).
박종오, “노인 27%‘노후 스스로 해결’... 가족 의존도 낮아져”, 이데일리, (2017.9.2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19126616064056&mediaCodeNo=257&OutLnkChk=Y
유정희, “무늬만 ESG, 경영 규준 표준화로 판별해야”, 중부일보, (2021.5.23.),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487142.
장진혁, “한경연 ‘국민연금, 기업 영향력 막강...투자기업 40%서 주요 주주’”, 뉴스웍스, (2019.12.5.),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283.
조신, “[ESG 시리즈 1] 지속가능 투자, 혹은 ESG 투자 - 자본주의의 미래?”,(2020.8.11) https://shincho.tistory.com/114 [From The Invisible Hand].
조해영, “ESG연구 끝낸 국민연금...465조 책임투자 속도”, 이데일리, (2021.1.18.),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90166628919032&mediaCodeNo=257&OutLnkChk=Y.
지현영, “[ESG동향] 국민연금은 무엇을 망설이는가”, 세계일보, (2021.5.13.),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513515803?OutUrl=naver.
최아름, “중소기업도 ESG‘필수’...초기 인센ㅌ티브 필요”, 정보통신신문, (2021.04.27.), https://www.ko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