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붕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1.1. 정의
1.2. 분류
1.2.1. 신경성 요붕증 (중추성 요붕증)
1.2.2. 신성 요붕증
1.2.3. 정신성 요붕증
1.3. 원인 및 병태생리
1.4. 증상
1.5. 진단
1.5.1. 요 검사
1.5.2. 수분제한 검사
1.5.3. Vasopressin 주입검사
1.5.4. 기타 검사
1.6. 치료 및 간호
1.6.1. 수분공급
1.6.2. 외과적 치료
1.6.3. 약물요법
1.6.4. 식이요법 및 생활원칙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1.1. 정의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이 부족하거나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는 정상이지만 신장에 문제가 있어 항이뇨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즉, 우리 몸에서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인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부족 또는 신장에서의 작용 저하로 인해 소변이 적절히 농축되지 않고 다량으로 배출되어 심각한 탈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요붕증의 정의이다.
1.2. 분류
1.2.1. 신경성 요붕증 (중추성 요붕증)
신경성 요붕증(중추성 요붕증)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손상으로 인해 항이뇨 호르몬(ADH)의 생성 및 분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요붕증의 한 유형이다. 시상하부의 신경세포가 선천적으로 생성되지 않거나 외상, 염증, 종양 등으로 인해 손상되어 ADH 분비가 저하되면 중추성 요붕증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량의 희석된 소변이 배출되게 된다.
중추성 요붕증은 ADH 분비의 감소 정도에 따라 부분 중추성 요붕증과 완전 중추성 요붕증으로 나뉜다. 부분 중추성 요붕증은 ADH 분비가 일부 감소한 경우이고, 완전 중추성 요붕증은 ADH 분비가 완전히 없는 경우를 말한다. 중추성 요붕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뇌하수체나 시상하부 부근의 종양이며, 외상, 감염, 수술 후 합병증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도 존재한다.
중추성 요붕증 환자들은 평소 갈증과 다뇨 증상을 보인다. 다량의 희석된 소변을 배출하므로 소변량이 기준치인 체중 kg당 50cc 이상으로 증가하고, 소변 삼투압이 낮아지며 비중이 감소한다. 또한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저혈압, 빈맥, 피부 및 점막 건조, 피로감 등의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의식 저하나 열이 동반될 수 있다.
요붕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증상 평가와 함께 요 검사, 수분제한 검사, 바소프레신 투여 검사 등이 시행된다. 요 검사에서 다뇨와 저삼투압뇨가 확인되면 중추성 요붕증이 의심되며, 수분제한 검사와 바소프레신 투여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MRI 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병변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중추성 요붕증의 치료는 주로 약물 요법으로 이루어진다. ADH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바소프레신 유사체인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을 투여한다. 데스모프레신은 비강 스프레이, 주사, 경구 제제 등 다양한 투여 경로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소변량을 감소시키고 삼투압을 조절하여 갈증과 다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중추성 요붕증의 원인이 되는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의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요붕증 환자에게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며, 저염식이와 카페인 섭취 제한 등의 생활 요법도 병행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환과 치료법, 주의사항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2.2. 신성 요붕증
신성 요붕증은 항이뇨호르몬(ADH)의 분비와는 무관하게 신장 자체에 문제가 있어 수분 재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나 후천적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신성 요붕증의 원인으로는 첫째,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신장에서 ADH에 반응하는 수용체의 결핍이나 ADH 수용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천성 신성 요붕증이라 한다. 둘째, 후천적 원인으로는 요도나 요관 폐색, 혈관성 질환, 종양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신장이 ADH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게 되어 수분 재흡수가 저하되고 다뇨증이 나타난다.
신성 요붕증의 경우 ADH 분비는 정상이지만 신장에서의 반응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분 재흡수가 원활하지 않다. 이로 인해 다뇨, 다갈, 야뇨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면 저나트륨혈증, 탈수, 성장지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신성 요붕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수분 제한 검사와 바소프레신 검사가 활...
참고 자료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2013.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2013.
최명애 외, 『보건의료인을 위한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2019.
서울아산병원, 요붕증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06&diseaseKindId=C000013)
퍼시픽 학술편찬국(2015), 『Pacific KNLE 예상문제풀이 아동간호학』, 서울:퍼시픽북스, pp.362-363
김희숙, 강경아 외(2013), 『아동청소년 간호학2』,서울:군자출판사, pp.439-441
[네이버 지식백과]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요붕증 [Diabetes Insipidus] (희귀난치성질환 정보,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2018), 현문사
요붕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KIMS, 의약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