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장 중의 염화나트륨 정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장의 일반적 특성
1.2. 간장의 제조 과정과 성분
1.3. 간장 중의 염화나트륨 정량의 중요성
2. 이론적 배경
2.1. 침전 적정법의 원리
2.2. Mohr법의 개요
2.3. 질산은 표준용액의 표정
3. 실험 방법
3.1. 시약 및 기구
3.2. 간장 용액 제조
3.3. 질산은 표준용액 제조
3.4. 간장 중 염화나트륨 정량
4. 실험 결과 및 고찰
4.1. 간장 중 염화나트륨 정량 결과
4.2. 오차 발생 원인 분석
4.3. 실험의 한계 및 개선 방안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간장 품질 관리를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장의 일반적 특성
간장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발효 조미료이다. 간장은 대두와 소맥, 식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약 17-20%의 식염을 함유하고 있다. 예로부터 메주를 만들어 된장과 간장을 생산해왔는데, 메주를 소금물에 넣어 숙성시킨 뒤 건더기로는 된장을, 남은 장액으로는 간장을 만들었다. 간장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국간장, 조선간장, 양조간장, 진간장, 저염간장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국이나 찌개와 같은 국물음식에는 국간장을, 나물과 같이 식재료의 색을 살려야 하는 경우에는 조선간장을, 조림·볶음·찜·초 등과 같이 음식의 색을 내야 하는 경우에는 진간장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개량식 간장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콩에 쌀이나 밀과 같은 전분질 재료를 황국균으로 발효시킨 코지를 섞어 만든 메주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간장은 전통적인 발효 조미료로서 우리나라 음식의 맛을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1.2. 간장의 제조 과정과 성분
간장은 전통적으로 콩을 원료로 하여 메주를 만들고 이를 소금물에 담그어 발효시켜 제조된다. 메주 제조 시 황국균 등의 미생물이 작용하여 단백질이 분해되고 다양한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간장의 복잡한 풍미와 맛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간장은 약 18-24%의 식염 함량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국간장, 조선간장, 양조간장, 진간장, 저염간장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합성 방식으로 제조되는 개량식 간장도 있는데, 이는 콩에 쌀이나 밀 등의 전분질을 첨가하여 황국균으로 발효시켜 만든다. 간장에는 단백질 분해산물인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감칠맛과 풍미를 부여한다. 특히 간장의 주요 성분인 염화나트륨은 간장의 맛과 저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 함량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간장 중의 염화나트륨 정량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발효된 조미료를 가지고 음식에 넣어 먹는 것을 즐겼다. 발효된 조미료 중 간장은 함유된 염도의 퍼센트에 따라 국간장, 조선간장, 양조간장, 진간장, 저염간장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국간장과 조선간장은 19~24%의 염도를 가지고 있는데 과한 양의 식염 또는 너무 적은 양의 식염이 들어가면 원하는 간장의 맛을 낼 수 없기 때문에 기존에 정해져 있는 19~24%의 염도를 맞춰야 한다. 실제 사용하는 간장을 가지고 간장의 식염인 NaCl의 함유량이 기존의 염도와 일치하는지는 Mohr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2. 이론적 배경
2.1. 침전 적정법의 원리
침전 적정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침전 적정법은 침전생성반응을 이용하여 용액 내의 특정 이온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화학적 방법이다. 은(Ag)이온과 할로겐 이온의 침전반응과 바륨과 황산 이온의 침전반응은 비교적 화학량론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침전적정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사용하는 표준용액과 지시약의 종류에 따라 Mohr법, Volhard 법, Fajans 법으로 구분된다. Mohr법은 표준용액으로 AgNO3 용액과 지시약으로 K2CrO4 용액을 사용하여 할로겐화 이온을 정량하는 침전적정법이다. 이 방식에서는 Ag+와 Cl-가 반응하여 AgCl의 침전이 생성되고, 반응액에 Cl-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지시약의 CrO4-2와 반응하여 Ag2CrO4(적갈색 침전)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극히 조금이라도 갈색으로 색이 변하면 반응 종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gNO3 소비량으로 반응한 Cl-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Mohr법은 pH 6~10 범위에서 정확한 반응이 일어나므로 용액의 pH가 이 범위에 있지 않다면 산 또는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조절해야 한다.
Volhard법은 은이온을 산성용액에서 KSCN 또는 NH4SCN의 표...
참고 자료
유은순차상원최재성, 최신분석화학, 북스힐, p85~93(2013)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mwd/selectMtstWordDictionary.do;jsessionid=Q7mI0J0yxOgRfTPuxvaRd0sAaC15MgNzlTJ8RKlKd01ggvhaz4mgac8Gn1YGr0KJ.frswas02_servlet_engine5?pageIndex=26&pageUnit=10&wrdSn=6177&searchWord=T&searchType=2&wrdType=0&searchWrd=&mn=NKFS_04_07_01&orgId=, 역가 정의
https://www.sempio.com/product/ganjang/02, 국간장의 식염 함유량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28381&CONT_SRC=HOMEPAGE&CONT_ID=4625&CONT_CLS_CD=001021003003, 소금 속 Na와 Cl의 비율
www.wikipedia.org, Argentometry
식품분석, 금종화 외 7명, 지구문화사, 2010, p.60~61
식품분석, 이근보 외 2명, 유한문화사, 2002, p.11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