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역사회 보건간호 사업 보고서 작성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보건간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지역사회 간호사정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수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 자원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간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간호사정 결과를 근거로 실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보건간호 사업을 계획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실무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1.2. 지역사회 보건간호 사업의 개요
지역사회 보건간호 사업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이는 건강증진, 질병예방, 돌봄 서비스 제공 등 포괄적인 범위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보건간호 사업은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간호활동을 계획, 수행, 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지역사회 보건간호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며, 지역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건강증진과 건강 관리의 통합성 및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본론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2.1.1. 자료사정방법
자료사정방법은 기존자료조사 방법이다. 기존자료조사는 해당 지역에 대한 통계자료, 연구보고서, 정책문서 등 기존에 축적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역사회의 현황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문헌고찰, 통계자료 분석 등을 통해 지리적 특성, 인구특성, 건강수준, 환경특성, 지역사회 자원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지역사회 간호 문제 도출 및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수 있다.
2.1.2. 지리적 특성
강원도 W시는 해발 180m~200m의 고지대로 언덕지역이며 불량주택 및 무허가 건물이 밀집되어 있다. 영세인구 과밀 지역이 많으며 지하철역 3개소 및 마을버스가 1일 10차례 운행되는 등 대중교통 접근이 불편한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1.3. 인구특성
65세 이상의 노년인구가 15.2%, 독거노인이 7%로 대부분 생활보호대상자로 나타났다. 유년인구(0~14세)는 16.2%로 부양비가 22%에 달하며 해당 지역의 노령화 지수는 93.8%로 높게 나타났다.
2.1.4. 건강수준
근골격계질환자(요통, 신경통)의 비율은 30%이다. 혈압(뇌졸중 포함) 환자의 비율은 23.8%이며, 당뇨병 환자의 비율은 16%이다. 음주율은 50%로 높고, 흡연율은 30%이다. 걷기 실천율은 7%에 불과하며, 만성질환자의 투약 불이행 비율이 높다. 질병 발생 시 약국 이용이 40.2%로 가장 높고, 의원 이용이 28.2%, 보건소 이용이 10%이다. B동 내에는 체육시설이 5개소, 시민공원은 3개소(이 중 2개는 공용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음)가 있다.
2.1.5. 환경특성
쓰레기 분리수거 불량지역이 많고 하수구가 다수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의 불편감이 호소되고 있다. 또한 언덕길이 다수 있어 노년인구의 근골격계질환 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소방도로가 부족하여 급박한 상황 시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1.6. 지역사회 자원
종합병원 2개, 의원 10개, 한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