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 비교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본시장선(CML)
2.1. 자본시장선의 개념
2.2. 자본시장선의 특성
2.3. 자본시장선과 효율적 포트폴리오
3. 증권시장선(SML)
3.1. 증권시장선의 개념
3.2. 증권시장선과 체계적 위험
3.3. 증권시장선과 자산 가치 평가
4.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의 비교
4.1. 위험 측정 방식의 차이
4.2. 적용 대상의 차이
4.3. 활용 목적의 차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투자를 할 때 안정성을 위해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이 투자하는 방식이 분산투자이고, 분산투자와 관련된 유명한 경제학 이론이 마코위츠(Markowitz)의 포토폴리오 이론이다. 넓게는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본시장선은 주식이 효율이냐 비효율이냐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며, 증권시장선은 자본시장선과 달리 모든 개별주식이 표현되어지고, 증권시장선을 통해 주식이 균형인지 불균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2. 자본시장선(CML)
2.1. 자본시장선의 개념
자본시장선(CML)의 개념
자본시장선은 무위험자산이 존재할 때의 효율적인 투자선을 의미한다.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마코위츠(Markowitz)의 효율적 투자선은 주식과 같이 미래현금흐름이 변동 가능한 위험자산만을 투자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에는 미래에 확정 소득을 가져다주는 정기예금, 국공채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기예금, 국공채와 같이 미래현금흐름이 확정된 자산을 무위험자산이라고 하는데, 이를 투자대상에 포함시키면 효율적 투자선은 새로운 형태를 갖게 된다. 이처럼 무위험자산을 투자대상에 포함시켜서 지배원리를 만족시키는 효율적 투자선을 찾아낸 것이 자본시장선이다. 자본시장선이 성립할 때 투자자들의 선호에 따라 차입이나 대출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때 투자대상이 되는 위험자산이 시장포트폴리오이다. 이를 토빈의 분리정리라 부르고, 투자 대상이 되는 위험 자산이 개개인 효용과 달리 위험보상비율에 의해 시장에서 객관적으로 결정된다. 자본시장선은 주식이 비효율인지 효율인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며, 선상 포트폴리오 주식들이 효율적이고 그 아래는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자본시장선 선상에는 체계적인 위험만 존재하고 완전분산투자이기 때문에 비체계적 위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자본시장선 포트폴리오 자산끼리 상관계수가 1이다. 이와 같이 자본시장선은 무위험자산을 포함한 효율적인 투자선을 나타내며, 주식의 효율성 판단과 투자자 선호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성에 활용된다. ()
2.2. 자본시장선의 특성
자본시장선(CML)은 무위험자산이 존재할 때의 효율적인 투자선을 의미한다. 마코위츠의 효율적 투자선은 주식과 같이 미래현금흐름이 변동 가능한 위험자산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자본시장선에서는 미래에 확정 소득을 가져다주는 정기예금, 국공채 등의 무위험자산도 투자대상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효율적 투자선이 도출된다.
자본시장선이 성립할 때, 투자자들은 자신...
참고 자료
미래와경영연구소(2006), 「New경제용어사전」, 미래와 경영
한국예탁결제원, “자본시장선, 증권시장선”증권용어,
https://www.ksd.or.kr/ko/other/search?collection=&query=%EC%9E%90%EB%B3%B8%EC%8B%9C%EC%9E%A5%EC%84%A0&range=w&sortField=RANK&startCount=1
조재호, “[MBA강좌]증권의 위험과 기대수익률..기대수익률이 클수록 위험 크다”, 한경 뉴스, 2006.04.02,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02030570221
장영광 외, 현대재무관리, 신영사, 2014년
감형규, 재무관리, 유원북스, 2019년
이상호, 재무관리, 피앤씨미디어,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