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당뇨병 말초관류장애 치료적 계획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다리가 자주 저리고 시리다. 밤에 다리가 욱신거려서 잠을 설치는 날이 많다. 요즘 발끝이 감각이 둔해진 것 같다. 오래 걷거나 서 있으면 다리가 아프다. 발이 차가워서 양말을 계속 신고 있다. 상처가 잘 낫지 않아서 걱정이다. 가끔 발이 타는 것처럼 아프다.
1.1.2. 객관적 자료
당뇨병 진단 10년째로, 최근 혈당 조절이 불안정하다. 발등과 발목의 맥박이 약하게 촉지된다. 발가락 피부색이 창백하고, 온도가 낮다. 양쪽 발에 건조하고 갈라진 피부가 관찰된다. 오른쪽 발뒤꿈치에 1.5cm 크기의 궤양성 상처가 있으며, 상처 부위 주변의 피부는 창백하고 치유 지연이 관찰된다. 족부 맥박 도플러 검사상 말초혈류 저하 소견이 있다. 혈청 HbA1c 수치는 9.2%로, 고혈당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1.2. 간호진단
1.2.1. 진단명
혈류 감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이다. 이는 말초조직으로의 혈류가 저하됨으로써 조직 산소 공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조직 손상 및 치유 지연, 감각 저하, 궤양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주요 원인은 장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한 혈관 내피 손상,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 혈류 순환 저하로 인한 조직 산소 부족, 미세혈관 및 대혈관 병변 등이다.
1.2.2. 진단 설명
말초조직으로의 혈류가 저하됨으로써 조직 산소 공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조직 손상 및 치유 지연, 감각 저하, 궤양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장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한 혈관 내피 손상,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 혈류 순환 저하로 인한 조직 산소 부족, 미세혈관 및 대혈관 병변 등이 주요 원인이다.
1.2.3. 주요 원인
장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한 혈관 내피 손상이다. 당뇨병성 말초혈관질환이다. 혈류 순환 저하로 인한 조직 산소 부족이다. 미세혈관 및 대혈관 병변이다.
1.3. 간호목표
1.3.1.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말초 부위의 피부색, 온도, 통증 수준이 악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대상자는 72시간 이내에 족부 상처 주변 피부의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말초혈류 개선과 관련된 건강 관리 행동을 수행하고, 조직 회복 징후를 보일 것이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말초 조직 관류 증진을 위한 자가간호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3.2.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말초혈류 개선과 관련된 건강 관리 행동을 수행하고, 조직 회복 징후를 보일 것이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말초 조직 관류 증진을 위한 자가간호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혈당 및 혈압 관리,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적절한 식이요법을 통한 혈당 조절과 더불어 하지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실천이 중요하다. 또한 말초혈류 개선을 위해 압박 스타킹 착용, 발 관리 등의 자가 관리 능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