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윤리 뇌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윤리와 뇌사
1.1. 뇌사의 정의
1.2. 뇌사 판정 기준
1.3.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
1.4. 뇌사 판정의 역사
1.5. 뇌사자 장기기증 사례
2. 뇌사에 대한 윤리적 논쟁
2.1. 뇌사 인정에 반대하는 견해
2.2. 뇌사 인정에 찬성하는 견해
3. 관련 법규와 현황
3.1.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3.2. 한국의 뇌사자 장기기증 현황
3.3. 주요국의 뇌사 인정 및 장기기증 제도
4. 장기기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윤리와 뇌사
1.1. 뇌사의 정의
뇌사란 교통사고나 뇌출혈 등으로 인한 심각한 뇌 손상으로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이 회복 불가능하게 완전히 정지된 상태이다. 이때 환자는 스스로 호흡할 수 없어 인공호흡기로 호흡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장이 계속 뛰고 있는 상태이다. 뇌사의 주요 원인에는 뇌 손상으로 인한 경우와 산소 공급 차단으로 인한 경우가 있다. 뇌사 상태와 식물인간의 차이점은 뇌사 시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이 정지된 반면, 식물인간은 대뇌의 일부만 손상되어 무의식 상태이며 호흡은 가능한 상태이다. 뇌사는 의학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판단되며, 치료를 계속해도 결국 심장 기능이 멈추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1.2. 뇌사 판정 기준
뇌사 판정은 매우 엄격한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 원인 질환이 확실하고 치료될 가능성이 없는 기질적인 뇌 병변이 있어야 한다. 둘째, 깊은 혼수상태로서 자발호흡이 없고 인공호흡기로 호흡이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셋째, 치료 가능한 약물중독이나 대사성 또는 저혈당성 뇌증의 가능성이 없어야 한다. 넷째, 저체온 상태가 아니어야 하며, 쇼크 상태도 아니어야 한다.
다음으로 판정 기준에 따르면, 첫째, 외부자극에 전혀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상태이어야 한다. 둘째, 자발호흡이 되살아날 수 없는 상태로 소실되었어야 한다. 셋째, 두 눈의 동공이 확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넷째, 뇌간 반사가 완전히 소실되어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자발 운동, 제뇌 강직, 제피질 강직 및 경련 등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무호흡 검사 결과 자발호흡이 유발되지 않아 자발호흡이 되살아날 수 없다고 판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판정 기준을 6시간 경과 후에 재확인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하며, 추가로 뇌파검사를 실시하여 평탄뇌파가 30분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매우 엄격한 절차를 거쳐 뇌사를 판정한다.
1.3.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뇌사 상태는 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이다. 심한 혼수상태에 놓여 있으며 자발적인 움직임이나 호흡이 전혀 불가능하다. 결국 필연적으로 심장박동도 멈추게 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반면 식물인간 상태는 대뇌의 일부분만 손상된 경우로, 무의식 상태에 있지만 일부 목적 없는 움직임이 가능하며 자발적인 호흡도 ...
참고 자료
고명숙 외, 「간호학개론」, 수문사
한국장기기증원, 국가법령정보센터, 불교신문, 국가정보포털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생명윤리, 0000, 공병혜 외, 현문사
간호학개론, 0000, 이병숙 외, 정담미디어
‘뇌사’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주금의 판정 기준을 중심으로, 서인숙, 1996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뇌사-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유리, 2016
위키 백과 – ko.wikipedia.org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 www.snuh.org
연합뉴스 – www.yonhapnews.co.kr
JTBC 뉴스 – news.jtbc.jio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