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누리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김누리 논문의 배경
1.2. 김누리 교수의 교육 개혁에 대한 제안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 개념
2.2. 4대 교육정책 폐지에 대한 제안
2.2.1. 대학입시 폐지
2.2.2. 대학서열 폐지
2.2.3. 대학등록금 폐지
2.2.4. 특권고등학교 폐지
2.3. 4대 교육정책 폐지에 대한 논평
2.3.1. 대학입시 폐지에 대한 논평
2.3.2. 대학서열 폐지에 대한 논평
2.3.3. 대학등록금 폐지에 대한 논평
2.3.4. 특권고등학교 폐지에 대한 논평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한국 교육개혁의 필요성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김누리 논문의 배경
김누리 교수는 한국의 교육이 근원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2중 억압으로 학생들을 옥죄는 교육이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2중 억압은 '성적(成績)의 억압과 성(性)적인 억압'이다. 이 2중 억압 속에서 정상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김누리 교수는 한국사회의 이중성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전쟁을 거친 한국이 이루어낸 민주주의는 전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성공사례이고 한국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는 힘이지만, 지배세력이 원치 않아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하게 강조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자살률이 높고, 가장 불평등한 나라가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사회는 교육혁명을 통해 우리사회의 근본과 인식을 바꾸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한다.
1.2. 김누리 교수의 교육 개혁에 대한 제안
김누리 교수는 한국사회의 극심한 경쟁주의와 이기주의,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교육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는 '차이나는 방송'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적인 개혁이 없다면 한국사회의 미래가 없다고 강조한다. 특히 경쟁 위주의 한국사회를 비판하며 '경쟁은 야만이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경쟁을 없앤 독일교육의 내용과 그로 인한 독일사회의 변화를 알려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중 4가지 교육정책의 폐지를 주장한다. [1]
첫째, 대학입시의 폐지이다. 극심한 경쟁을 부추기는 입시제도는 우리사회의 극단적인 이기주의, 불평등을 무시하는 반시민의식, 무한 경쟁 속에서 행복보다 불행한 인간을 만드는 주범이다. 따라서 대학입시의 폐지가 가장 중요한 개혁과제라고 볼 수 있다. [2]
둘째, 대학서열의 폐지이다. 대학서열화는 극심한 입시경쟁을 부추기는 만큼 근본적인 변화를 이끄는 핵심적인 과제이다. 독일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시험을 거치면 누구나 대학을 갈 수 있고, 많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의대진학도 추첨제로 진행된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이공계의 1%만이 의대에 진학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청소년기를 온전히 공부에 바쳐야 하는 현실이 문제이다. [2]
셋째, 대학등록금 폐지이다. 현재 대학생들이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는 상황은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들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대학등록금 폐지를 통해 대학생의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2]
넷째, 특권고등학교의 폐지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경쟁을 부추기는 특권고등학교의 폐지는 근본적인 교육 개혁을 위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기득권층의 극심한 저항으로 실행되지 않고 있는데,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반드시 폐지되어야 한다. [2]
결국 김누리 교수가 제안한 4가지 교육정책 폐지는 우리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쟁 위주의 교육구조를 탈피하고 공감과 연대의 가치를 지닌 건강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1,2]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사회의 극심한 경쟁주의와 이기주의, 부조리한 현실, 그리고 교육문제에 대한 문제제기가 많으며, 김누리 교수는 '차이나는 방송'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을 개혁하지 않으면 한국사회의 미래가 없다고 강조한다. 특히 경쟁 위주의 한국사회에 대해 비판하며, '경쟁은 야만이다'라고 말하고, 경쟁을 없앤 독일교육의 내용과 그로 인한 독일사회의 변화를 알려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중 4가지 교육정책의 폐지를 주장하므로, 김누리 교수의 교육개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본론
2.1. 김누리 교수의 교육혁명 개념
김누리 교수는 한국의 교육은 근원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2중 억압으로 학생들을 옥죄는 교육이라고 설명한다. 이 2중 억압은 '성적(成績)의 억압과 성(性)적인 억압'이다. 2중 억압 속에서 정상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사회의 이중성에 대해서도 지적하는데, 전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성공사례인 한국의 민주주의가 지배세력이 원치 않아 중요하게 강조되지 않고 있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자살률이 높고, 가장 불평등한 나라가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한국사회는 교육혁명을 통해 우리사회의 근본과 인식을 바꾸는 것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
김누리 교수는 교육혁명의 모델로 독일교육을 제시한다. 독일 교육의 전환점은 '68혁명'으로, 기존 체제와 권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모든 형태의 억압에서부터 해방을 외쳤다. 독일 68혁명의 핵심은 과거 청산이었고, 새로운 독일을 만들기 위해 경쟁교육을 없앴다. 이것이 오늘의 독일을 만든 핵심이었다고 설명한다. 68혁명의 정신은 유럽을 뒤흔들고 큰 영향을 미쳤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독일교육의 가장 중요한 철학은 경쟁을 없애고 연대하는 인간을 키워내는 것이다. 독일학교는 등수를 매기지 않는 것을 통해 경쟁을 없앴고, 대학입학시험이 없어 졸업시험만 붙으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 그 결과 독일 국민들은 높은 자존감과 정체성을 지니고, 성숙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반면 한국교육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지적한다. 한국 학교에서는 경쟁을 기반으로 한 지식의 전수만이 있을 뿐 독일교육의 핵심인 성교육, 정치교육, 생태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한다. 한 인간이 개인으로서, 시민으로서, 생명체로서 살아가는 근본이 되는 진정한 교육이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입시 위주의 현행 교육은 극단적인 이기주의, 불평등을 무...
참고 자료
대학민국 교육, 혁명이 필요하다. 김누리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MQnDHBtKr44
교육혁신사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실천과제, 황은희, 한국교육개발원, 2019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운동에 관한 연구, 정영수, 한독교육학회, 2000
4차 산업혁명 위원회(2017).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
강명희(2009). 미래학습자와 교육성과. 한-OECD 국제세미나: 새천년 학습자 및 교원 자료집. 43-64.
강성종(2021).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현석(2016). 한국 중등 교육과정의 현실과 교육과정의 과제: Speculative Essay Approach. 2016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육학회.
강환국(1988). 교사와 교사교육. 서울: 배영사.
김경애 외(2015).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조성 방안. (연구보고 RR 2015-04). 한국교육개발원.
김기헌 외(2008).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Ⅰ: 총괄보고서(연구보고 08-R15).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대식(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31). 23-45.
김용 외(2015). 충북형 미래학력의 방향과 내용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김정옥 외(2016). 2016 다보스 리포트: 인공지능 발 4차 산업혁명.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김태일(2017).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교육정책. 한국정책학회 기획세미나.
성태제(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교육학연구. 55(2). 1-21.
성열관 외(2014).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편성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과정.
소경희 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윤종혁(2014). 한국의 교육발전과 미래 교육혁신 전망. (CP 2014-08-0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이슈페이퍼9.
이근호 외(2013).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은민(2016).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방송정책, 28(15), 1-22.
임종헌 외(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2.
전경희(2016). 과중정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CP 2016-02-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전예원 외(2017). 4차산업혁명시대 중등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규명.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4). 95-120.
정미경 외(2013). 초 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 2013-3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조상식(2018).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지속가능한 대학교육. 대학:담론과 쟁점. (2). 85-103.
진경엽(2017). 미래교사의 역할 및 교수역량 구인 타당화.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계영(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최상덕 외(2014).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Ⅱ). (연구보고 RR 2014-1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최승현 외(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연구: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 (33), 32-35.
Kelly, F. S., McCain, T., & Jukes, I.(2009). Teaching the digital generation: No more Cookie-cutter high schools. Califonia: Corwin Press.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