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과의학의 발전
1.2. 역사적 고찰의 필요성
2. 본론
2.1. 고대 외과의학의 발전
2.2. 중세 외과의학의 발전
2.3. 17세기 의학의 발전
2.4. 18세기 외과의학의 발전
2.5. 19세기 외과의학의 발전
2.5.1. 마취제의 등장
2.5.2. 무균 개념의 등장
2.5.3. 세포병리학의 출현
2.5.4. 청진기의 개발
3. 결론
3.1. 외과의학 발전의 역사적 의의
3.2. 과학적 발전이 의학 발전에 미친 영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과의학의 발전
외과의학의 발전은 고대로부터 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외과 의사들이 절단술, 쇄석술, 백내장 제거술 등을 시행하였다. 고대 인도에서는 Sushruta라는 의사가 100가지가 넘는 수술도구 사용법을 설명하였으며, 성형외과의 기원도 이 시기로 추측된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현대의학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그리스 의학이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페르시아와 그리스 문명이 아랍 정복자에게 전달되면서 아랍인들이 그리스의 과학을 계승하였다. 아랍 의사들은 출혈 제어와 상처 표면 건조를 위한 수술기법을 발전시켰다. 대표적인 아랍 외과의사로 Rhazes, Mondecille, Chauliac 등이 있었다.
17세기에는 윌리엄 하비의 "심혈관 운동론" 발표, 크리스토퍼 렌의 정맥 주사 경로 발견 등 기초의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18세기에는 비엔나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스티븐 헤일의 인공환기기술 및 혈압 측정 방법, 아우겐부르게르의 타진법 등이 개발되었다.
19세기에는 사회, 정치,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의학교육과 외상치료에 큰 변화가 있었다. 1860년 Virchow의 세포병리학 출판, 1847년 마취제 도입, 1867년 무균 수술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마취제의 사용으로 드디어 수술의 고통이 줄어들었으며, 무균 개념의 도입으로 수술 상처 감염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루돌프 피르호가 세포 이론을 통해 세포병리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라엔넥이 청진기를 개발하면서 진단법이 발전하였다.
이처럼 외과의학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19세기 이후 과학적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수술기법, 마취, 무균법, 진단법 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외과의학이 현대 의학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1.2. 역사적 고찰의 필요성
역사적 고찰의 필요성이다. 외과의학의 발전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고찰하는 것은 현대 의학의 토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고대 사회부터 시작된 외과적 치료는 중세시대를 거치며 발전하였고, 17세기 이후 과학의 발전과 함께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러한 외과의학의 역사적 진화 과정을 살펴보면 현재 의학 분야의 발전상과 그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치료법과 현대의 의료기술을 비교함으로써 의학의 진보상을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의학의 역사적 고찰은 의학 분야의 발전을 이해하고 미래 의학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
참고 자료
김진구, 마취제, 수술실에서 비명을 사라지게 하다, 헬스조선, 2018.03.20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19/2018031900900.html
송병기, [21]19세기 의료기기 하나둘씩 발명되다, 메디컬옵저버, 2007.10.22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516
이한기, 근대 병리학의 아버지 루돌프 피르호, 의약뉴스, 2021.07.14.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376
박광수, 외상외과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아주대학교대학원, 2014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상,하 (9판), 수문사, 2019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 상, 하 (9판), 메디컬사이언스, 2019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EduCase, 핵심임상간호 매뉴얼, 성인간호학
최혁재, 약학 정보원, 폐렴의 약물요법, 약학정보원 학술자문위원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
하나병원, 건강증진센터, 간기능검사 상세 항목
범진필, 임상약리학(7판), 청구문화사, 2016
국가건강정보포털 (www.health.m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