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임상병리 사진2024.09.19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와 분류 병리학은 Pathos(질병)와 Logos(학문 또는 과학)의 합성어로,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는 학문이자 기초의학에 속한다. 병리학은 인간의 질병에 본질적인 성질을 다루며, 질병의 원인, 발병기전, 형태학적 및 기능적 변화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병리학의 분류는 크게 인체병리학, 실험병리학으로 나뉜다. 인체병리학은 질병의 사망, 질병에 걸린 인체가 대상이 되며, 임상병리학과 해부병리학으로 구분된다. 임상병리학(현 진단검사의학)은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물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방법을...2024.09.19
-
중심정맥관 간호2024.09.231. 중심정맥관이란? 1.1. 정의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 팔의 대정맥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카테터의 끝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한다. 중환자실, 병실, 외래는 물론 가정과 장기요양 시설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중심 정맥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용액과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혈액 성분과 영양수액을 줄 수 있다. 또한, 중심 정맥을 통해 혈역학적 감시 즉 중심정맥압(CVP)을 측정할 수 있고 혈액채취도 가능하다. 모든 ...2024.09.23
-
아동실습지침서2025.05.051. 아동실습지침서 1.1. 아동병동 간호단위 실습 신체 계측은 아동의 신체와 최근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간호사정의 근거로 사용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신체계측 시 통증이 없고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검진을 먼저 시행하고 아프거나 고통을 주는 검진은 마지막에 시행한다. 두위를 측정할 때는 후두의 제일 돌출된 부위와 안와 위쪽 돌출된 부위의 둘레를 줄자를 이용하여 두 차례 이상 측정하며, 출생 시 두위는 약 34cm로 흉위보다 약 2cm 정도 크다. 처음 1년간 약 12cm가 증가하여 1세가 되면 46cm가 되고 4세가 ...2025.05.05
-
근육주사둔부의 복면에 대한 실습성찰일지작성해줘2025.05.061. 서 론 1.1. 근육주사의 목적과 필요성 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조직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피하조직과 피부조직에 심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약물을 안전하게 주사하기 위해 필요하다. 근육주사를 통해 약물을 근육에 주사함으로써 약물의 흡수가 빠르고 장기간 지속되며, 약물의 유효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하주사나 정맥주사에 비해 부작용 발생률이 낮다. 따라서 근육주사는 투여가 필요한 다양한 약물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근육주사의 목적은 약물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흡수...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