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의 발전
- 최초 등록일
- 2023.08.25
- 최종 저작일
- 2023.08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과목명:의료인문학특수과제
주제: 외과의 발전
목차
Ⅰ.서론
Ⅱ.본론
1.고대 외과의학의 발전
2.중세 외과의학의 발전
3.17세기 의학의 발전
4.18세기 외과의학의 발전
5.19세기 외과의학의 발전
1)마취제의 등장
2)무균 개념의 등장
3)세포병리학의 출현
4)청진기의 개발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현대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외과수술이다. 외과의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전에는 고치지 못했던 많은 병들이 수술적 치료를 통해 완치가 가능해졌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수술 도구를 통해서 수술을 하는 외과가 발달하기 보다는 침과 약재를 사용하는 치료가 발달했다. 하지만 서양은 고대 사회부터 외과적 치료가 시작되었으며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에는 수술도구에 큰 발전이 이루어져 오늘날의 외과적 형태를 나타내게 되었다. 외과의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떤 발전 단계를 거쳤는지 본론을 통해서 서술해 보겠다.
Ⅱ.본론
1.고대 외과의학의 발전
이집트의 고대 왕국에서는 외과 의사가 절단술, 쇄석술, 백내장 제거 술 등을 수행했다. 기원전 2500년에서 1500년 사이 고대 인도에서는 Sushruta라는 유명한 의사가 있었다. 그는 100가지가 넘는 수술도구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성형외과의 기원이 이 시기로 추측된다. 당시 찢어진 귓불이나 코를 재건하는 성형수술이 흔하게 시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 자료
김진구, 마취제, 수술실에서 비명을 사라지게 하다, 헬스조선, 2018.03.20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19/2018031900900.html
송병기, [21]19세기 의료기기 하나둘씩 발명되다, 메디컬옵저버, 2007.10.22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516
이한기, 근대 병리학의 아버지 루돌프 피르호, 의약뉴스, 2021.07.14.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376
박광수, 외상외과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아주대학교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