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내용은 어떤 것이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 문화교육의 중요성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및 중요성
1.3.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
2. 본론
2.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2.1.1. 신체 언어
2.1.2. 공간 언어
2.1.3. 시간 언어
2.1.4. 색상 언어
2.1.5. 의사 언어
2.1.6. 기타 언어
2.2.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행동문화 교육 내용
2.2.1. 표정 문화
2.2.2. 제스처 문화
2.3.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 방법
2.3.1. 자국 문화와 한국 문화 비교
2.3.2. 드라마와 영화를 통한 비언어 의사소통 학습
2.3.3. 역할극을 통한 비언어적 표현 익히기
3. 결론
3.1.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3.2. 초급 학습자 교육에서 비언어 의사소통의 실제적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 문화교육의 중요성
한국 문화교육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 체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뿐만 아닌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그중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대체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로서 기여해나가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목표어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비언어 표현 교육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문화적 거리감을 줄이고 비언어로 표현된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언어와 문화를 함께 교육하는 것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및 중요성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뉘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를 제외한 의사 전달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이는 음성적(목소리의 톤, 속도, 감정)과 비음성적(몸짓, 표정, 자세) 요소로 구분되며, 주로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이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충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문화적 맥락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으로도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베라비언의 법칙에 따르면 의사소통에서 시각적 작용이 55%, 청각적 작용이 38%, 언어적 작용이 7%에 불과하다. 이처럼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에 비해 의사전달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목표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비언어적 요소를 학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1.3.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
초급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목표어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비언어 표현 교육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대체할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인 측면 외에도 문화적인 이해와 존중을 나타내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초급 학습자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최대한 효율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이 필요하다.
2. 본론
2.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2.1.1. 신체 언어
몸의 움직임, 얼굴 표정, 눈의 접촉 등을 통해 의사소통하는 방식이다. 이는 동작학적 연구의 범주에 속하며, 제스처, 자세, 신체 접촉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인은 대화 시 주로 눈을 바라보지만, 윗사람과 대화 시 예우 차원에서 시선을 피하기도 한다. 죄송한 마음을 표할 때에는 웃음을 지으며 함께 표시한다. 이는 서로 어색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거짓말을 표시할 때에는 상대에게 살짝 윙크를 하기도 한다. 상대방에 대하여 싫다는 표현으로 무표정의 얼굴표현은 상대를 배려하기 위한 방법이다. 그렇지만 가끔 좋고 나쁨을 표현할 때도 있다.
상대에게 엄지를 치켜세우면 '잘했다'나 '최고'라는 표현이다.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손바닥을 상대에게 보이면서 손가락 개수로 표시한다. 인사할 때는 머리와 허리를 약간 숙여서 한다. 깊이 숙일수록 '존경'의 의미이다. 또 인사 시 악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남, 여 구분하지 않기도 한다. 명절에는 전통 인사인 '절'을 한다. 무엇을 받을 때에는 손윗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일 경우 두 손으로 받아서 ...
참고 자료
김형순(201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석사 학위 논문.
김우룡·장소원(200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이유인(2014), 「한국어 학습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을 위한 한류 드라마 활용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석사 학위 논문.
심휘령(2017),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박갑수(2011), 「비언어 행동과 한국어 교육」, 국학연구론총 제8집, 택민국학연구원
강승혜 외(2010), 『한국문화교육론』, 형설출판사
김영순·김연화(2007). 『몸짓 기호와 손짓 언어』, 한국문화사.
강범모(2010), 언어, 한국문화사
김방한(1995), 언어학의 이해, 믿음사
이승연(2012), 한국어교육을 위한 응용언어학개론, 태학사
네이버 검색
김춘경외 , 비언어적 의사소통, 상담학사전, 2016
서경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2014
김정은, 한국어교재의 비언어 표현과 문화교육, 한국어와 문화, 2015
조현용,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22호. 이중언어학회, 2003
김정숙 외, 한국어 비언어적 행위 표현과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국제한국언문화학회 학술대회 주제발표, 2005
중앙대학교웹진,비언어적의사소통이란, https://blog.naver.com/toiko2/22146470437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