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SWOT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SWOT 분석
1.1. 서론
1.2.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필요성 및 개요
1.3. SWOT 분석의 필요성
2. SWOT 분석
2.1. Strength(강점)
2.1.1. 적정 간호인력 배치와 팀 간호체계
2.1.2. 간호인력 증가
2.1.3. 안정적인 병실환경 유지
2.1.4. 병동 환경개선과 환자 안전
2.1.5. 경제적 부담 감소
2.2. Weakness(약점)
2.2.1. 간호인력 업무 가중
2.2.2. 간호인력 간 역할분담 모호
2.2.3. 미흡한 보상
2.2.4. 환자안전 및 건강결과 평가 미흡
2.3. Opportunity(기회)
2.3.1.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2.3.2. 간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감소
2.4. Threat(위협)
2.4.1. 과도한 업무 요구
2.4.2. 지역별 편차
3. 발전방안
3.1. 간호인력 수급 지원
3.2. 교육 및 홍보 강화
3.3. 운영 부서 지원 강화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SWOT 분석
1.1. 서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보호자나 간병인 없이 간호사와 보조인력이 입원환자의 모든 간호서비스와 일상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팀 간호체계와 병동 환경 개선을 통해 환자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간병으로 인한 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3년부터 시범 사업을 시작하였고, 2015년부터는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의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전국적으로 정착되었다고 보기 어려워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시점에서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SWOT 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1.2.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필요성 및 개요
우리나라는 가족 또는 간병인이 입원대상자를 간병하는 관습으로 인해 상호감염 위험 등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간병비 부담이 높아 적정 간호 인력의 확대 배치를 통해 대상자가족이 간병할 필요가 없는 포괄간호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3년 7월부터 간병을 입원서비스에 포함하는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15년부터는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대상자 안전 및 입원서비스의 질 향상과 국민의 간병부담 해소를 목적으로 간호 인력의 확충 및 병실 환경개선을 통해 병원의 간호 인력이 대상자를 전적으로 돌보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이 시행 된지 4년이 지났지만 이 사업에 대한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으며, 현 시점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요구도는 계속 상승되고 있으나 이 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은 한정되어 있다.
1.3. SWOT 분석의 필요성
SWOT 분석의 필요성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효과적인 시행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대한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SWOT 분석을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강점인 적정 간호인력 배치, 간호인력 증가, 안정적인 병실환경, 병동 환경 개선과 환자 안전 향상, 경제적 부담 감소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약점인 간호인력 업무 가중, 역할 분담 모호, 미흡한 보상, 환자안전 및 건강결과 평가 부족 등을 개선하여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기회 요인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간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감소 등을 활용하고, 위협 요인인 과도한 업무 요구와 지역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지속적인 발전과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SWOT 분석
2.1. Strength(강점)
2.1.1. 적정 간호인력 배치와 팀 간호체계
적정 간호인력 배치와 팀 간호체계이다. 병동별 환자의 특성과 간호필요도에 따라 간호인력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간호사가 중심이 되어 간호지원인력이 한 팀으로 환자를 간호하고 돌봐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간호사 1명당 담당 환자 수가 기존보다 줄어들어 24시간 전문적인 간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팀 간호체계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간호인력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팀 간호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입원 환자에게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병동 단위로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인력을 구성하여 전인적인 간호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강점이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건강증진,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2.1.2. 간호인력 증가
간호사 한명 당 담당 환자의 수가 적어져 간호 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더 많은 간호인력이 투입되어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병지원...
참고 자료
이은화(2019),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비교(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병원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보건의료와 환경의 이해와 간호정책, 간호정책연구회 편, 에듀팩토리(2019)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김진현 외 3명.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방향. 간호행정학회지. 2017. P318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04395&thread=22r0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참여 병상비율 17% 그쳐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0273
베스티안 서울병원 http://www.bestianseoul.com/
MEDI:GATENEWS. “지역별 편차 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정병상률 인천 40%, 세종 0%”. 윤영채 https://medigatenews.com/news/137409720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2년...간병비 크게 낮춰 http://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996
중증 환자에 더 절실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대소변 가리는 환자만 받아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5081870085510?did=NA&dtype=&dtypecode=&prnewsid
김지우. (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도입에 따른 진료경향. 정책동향, 12(3). 50-57
김진현, 김성재, 박은태, 정수용, 이은희. (2017).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방향. 대한간호학회지, 23(3), 312-322
공장호, 김완민. (2015). 일본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간병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동북아 연구, 45, 461-480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 지침. 한국: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 지침. 한국: 국민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retrieveHomeMain.xx
법제처 의료법 http://www.moleg.go.kr/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