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간호학실습 파킨슨병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파킨슨병의 정의와 특징
3. 파킨슨병의 원인
4. 파킨슨병의 임상증상
4.1. 운동증상
4.2. 비운동증상
5. 파킨슨병의 진단
5.1. 임상검사
5.2. 영상검사
6. 파킨슨병의 치료
6.1. 약물치료
6.2. 수술치료
6.3. 재활치료
7.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
7.1. 운동기능 증진
7.2. 자가간호 증진
7.3. 배뇨기능 증진
7.4. 영양상태 및 체중관리
7.5. 의사소통 증진
7.6. 자존감 증진
7.7. 교육 및 예방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 치매 다음으로 발병률이 높은 퇴행성 노인질환이다. 우리사회는 현재 고령사회로 계속적인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파킨슨병 환자 유병률은 증가 추세에 있다. 따라서 파킨슨병에 대하여 자세히 공부해볼 필요가 있다.
2. 파킨슨병의 정의와 특징
파킨슨병은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소실과 관련이 있는 신경 변성 장애이다. 10,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며, 50세 이후 발병하기 시작하여 60세 이후 발생률이 높다. 남녀 모두에게서 발생하며, 뇌 기능의 이상을 일으킨다. 65세 이상에서는 100명당 1명의 빈도로 나타난다. 임상적으로는 안정 시 떨림, 강직, 운동완만 그리고 자세불안정이 특징이며, 아직 약으로 완치가 불가능한 난치성, 중추신경계의 진행성 질환이자 소모성 질환이다. 그러나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약물치료와 재활치료, 생활관리 등을 하면 병의 진행을 억제하고 증상을 경감시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3. 파킨슨병의 원인
파킨슨병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우선, 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5~10%만 유전적 영향에 의해 발생한다. 50세 이하의 조기 발병 파킨슨병 환자에서 유전적 요인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파킨슨병 발생률이 높아진다. 유전적 요인은 4번째 염색체의 결함과 관련되어 있다.
한편, 환경적 요인으로는 노화, 도파민 파괴 바이러스, 특발성 동맥경화성뇌염, 뇌종양, 뇌수종, 뇌 허혈, 독성물질 흡입, 신경매독, 특정 약물 복용(reserpine, methyldopa, lithium, haloperidol, chlorpromazine, amphetamine 등) 등이 있다.
정상적으로는 뇌 중뇌 흑질에서 도파민이 분비되고, 이 도파민은 뇌의 기저핵에 작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대로 몸을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신경전달계 물질이 된다. 하지만 흑질의 퇴행으로 인해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면서 파킨슨병이 발병하게 된다.
종합하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뇌의 선택적 부위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의 퇴행을 유발함으로써 파킨슨병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4. 파킨슨병의 임상증상
4.1. 운동증상
안정 시 떨림(tremor)은 가장 흔한 초기증상이다. 안정 시 떨림, 즉 진전은 동작이나 행동을 중단하고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등의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 주로 나타나며, 무엇인가에 집중하는 동안에 사라진다. 피곤하거나 긴장하면 악화되며, 손에서 시작하여 점차 확산된다.
진전으로 인해 글씨가 흔들리고 작아지는 소서증(micrographia)이 나타난다.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여 뻣뻣해지는 강직(rigidity)이 발생한다. 후두근이 경직되어 씹고 삼키는 것이 어려워지며 침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고, 안면근육의 경직과 운동결여로 표정없는 얼굴이 특징이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근육이 조이거나 당기는 느낌, 근육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미세한 움직임이 점점 둔해져 느린 상태를 의미하는 운동완만(bradykinesia)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은 왼쪽 또는 오른쪽 어느 한쪽에서 먼저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보행 시 한쪽 팔을 덜 흔드는 것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걸을 때 팔 흔들기가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통증과 강직을 동반하며 어떤 동작을 시작하려 할 때 발생된다. 걸음이나 손동작이 느려지고 말이 느려지고 얼굴 표정이 없어지며 세수, 화장, 목욕, 식사, 옷 입기 등 일상생활의 여러 동작이 느려지게 된다.
자세반사의 소실로 인해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이 나타난다. 질병이 진행되면 몸의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넘어진다. 몸을 앞으로 구부리기와 걷기 시작은 어려우나 시작되면 가속화되어 정지하기 어려워 걸음걸이 폭이 좁아지며 질질 끄는 종종걸음이 나타난다. 또한 목, 허리, 팔꿈치와 손목, 무릎 관절의 굴곡 등으로 인해 어정쩡하고 구부정한 자세를 보인다. 걷기 시작할 때, 걷는 도중, 걷다가 돌 때 발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아 발걸음을 옮기지 못하는 걸음의 동결이 파킨슨병이 많이 진행된 환자에게 관찰된다.
4.2. 비운동증상
파킨슨병 환자는 질병의 진행과 함께 다양한 비운동증상을 겪게 된다. 먼저 신경정신과적 증상으로 우울증, 불안, 무감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파킨슨병 환자의 약 50%에서 관찰되며, 치료의욕 저하와 삶의 질 악화로 이어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인지기능 장애도 흔히 발생하는데, 전체 환자의 40%가량에서 치매 증상이 동반된다. 파킨슨병 환자의 치매는 알츠하이머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환시 경험, 인지기능 변동성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약물 과민반응도 나타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자율신경계 증상으로는 기립성 저혈압,...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Ⅱ 9판 개정, 윤은자 외, 수문사(2021), 1214~1223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파킨슨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83
네이버 지식백과(시사상식사전), 파킨슨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3405&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동영상백과(ebs 지식클립), 파킨슨병과 파킨슨 증후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3432&cid=67205&categoryId=672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뇌심부 자극수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85
네이버 지식백과(분자-세포생물학백과), 뇌심부자극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29969&cid=61233&categoryId=61233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 파킨슨병_재활치료
https://www.snumdc.org/movement-disorders/parkinson-disease/rehabilitation/
휴한의원 블로그
https://naver.me/xkIHXnCc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파킨슨병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뇌심부 자극수술
네이버 지식백과(분자-세포생물학백과), 뇌심부자극술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정담 미디어, 2019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의약품상세검색,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2021년03월20일 http://www.kimsonline.co.kr,성분정보, 약학정보원, 2021년03월21일 http://www.health.kr/
황옥남(2018), 『성인간호학 (하)』.현문사
은재순(2017), 『임상약리학』.현문사
배은숙 외3명 (2015), 『파킨슨병 환자의 전화를 사용한 질병 중재 프로그램 효과』.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통합 뇌질환 학회 http://ibds.or.kr/
서울아산병원 www.amc.seoul.kr
삼성서울병원 www.samsunghospital.com/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sev.iseverance.com
드럭인포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