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하동군 문화유산 보존관리 계획
1.1. 개요
하동군은 하동8경, 다원8경을 중심으로 다양한 역사문화와 자연생태자원이 살아 숨쉬는 지자체이다. 현재 하동군의 주요 문화재로는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하동고서성, 하동읍성 등이 있으나 국가지정 문화재가 총 15점에 불과한 실정이다. 옥종면의 유교관련 문화재 64점, 화개면의 다채로운 지방문화재 등은 역사적 가치가 크지만 국가 문화재로 지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동군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하동군의 문화유산을 국가 문화재로 지정받고 지리산과 섬진강 유역의 세계유산 지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각국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재를 적극 활용하여 관광업 활성화와 전통문화 보존·계승에 힘쓰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문화국가를 지향하며 문화재 보호가 국가의 기본임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2. 추진계획 및 수단
1.2.1. 하동군 문화재 방재 시스템 실태조사 및 시스템 구축
하동군 문화재 방재 시스템 실태조사 및 시스템 구축은 하동군의 주요 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핵심적인 부분이다. 먼저 하동군 문화재 화재 초기 감지 시스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하동군 문화재의 방재 시스템 유무 및 현황을 파악하고, 문화재별 소요 방재 시스템을 분석한다. 또한 과거 문화재 소실 사례를 분석하여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문화재 방재 시스템을 구축한다. 문화재 화재시 효과적인 방재 기술 개발도 병행하여 진행한다. 이러한 실태조사와 시스템 구축을 통해 하동군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1.2.2. 해외 문화재 방재 시스템 실태조사
일본과 프랑스의 문화재 방재 시스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선진 방재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일본은 문화재 방재 선진국으로, 일본 문화재청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재 방재 시스템의 현황을 조사하고 화재 대처방안 및 방재 기술을 습득할 계획이다. 과거 일본 문화재 소실 사례를 분석하여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프랑스 또한 문화재 방재 선진국으로, 프랑스 문화재청과의 교류를 통해 프랑스 문화재 방재 시스템의 현황을 조사하고 화재 대처방안 및 방재 기술을 습득할 계획이다. 과거 프랑스 문화재 소실 사례를 분석하여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하동군의 문화재 보존과 방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선진 기술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3. 국가 지정 문화재 확충
옥종면의 유교관련 문화재 64점, 화개면의 다채로운 지방문화재 등은 역사적으로 매우 큰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국가 주요 문화재로 지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동군은 이러한 지역의 문화재를 국가 지정 문화재로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동군은 옥종면의 유교관련 문화재 64점과 화개면의 다채로운 지방문화재에 대한 학술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들 문화재의 역사적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를 대중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 하동군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하동군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하동고서성, 하동읍성 등 현재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문화재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하동군의 문화유산이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문화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적으로 하동군은 지역 문화재의 국가 지정 문화재 확충 및 기존 국가지정 문화재의 보존ㆍ관리에 힘써 하동군의 자랑거리인 문화유산을 후세에 전승하고자 하는 것이다.
1.2.4. 전문인력교육
하동군은 문화재 전문인력 교육을 통해 하동군의 자랑스런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할 계획이다. 하동군 지방문화재 관리인들을 대상으로 문화재 방재 교육을 강화하고, 각 지방문화재 10급 방호공무원들에 대한 문화재 방재 교육 또한 함께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방재시설에 대한 시청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하동군의 지역 문화재에 대한 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효율적인 문화재 보존 및 방재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하동군의 문화유산이 단순히 하동군을 넘어 우리나라 전체의 자랑스런 문화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