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물의 경도 측정 실험 소개
본 실험은 물의 경도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의 경도란 물에 포함되어 있는 Ca2+와 Mg2+등 2가 금속 양이온의 양을 CaCO3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물의 경도에 따라 물을 단물(연수)와 센물(경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CaCO3의 양이 0~75 ppm이면 단물, 75~150 ppm이면 비교적 센물, 150~300 ppm이면 센물, 300 ppm 이상이면 아주 센물로 구분된다.
단물은 Ca2+와 Mg2+가 적게 포함되어 있어 경도가 낮은 물로, 식수로 사용하기 적합하고 세탁하기 좋은 특징이 있다. 반면 센물은 Ca2+와 Mg2+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경도가 높으며, 비누가 잘 풀리지 않아 세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센물은 일시적 센물과 영구적 센물로 구분되는데, 일시적 센물은 탄산 수소염으로 존재하여 끓이거나 침전제를 사용하여 단물로 바꿀 수 있지만, 영구적 센물은 Cl-, SO42- 등의 음이온으로 존재하여 화학적 처리를 통해 단물화해야 한다.
이러한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EDTA 적정법을 활용할 수 있다. EDTA는 4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의 아민기를 포함하는 6자리 리간드로, 금속 이온과 안정한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EDTA 표준 용액으로 시료 용액을 적정하여 소모된 EDT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물에 포함된 Ca2+와 Mg2+의 총량을 정량할 수 있다. 이때 EBT(Eriochrome Black T) 지시약을 사용하면 적정 종말점에서 용액의 색이 붉은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화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EDTA 적정법을 이용하여 수돗물과 청룡연못물의 경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토대로 물의 경도 분류와 센물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를 통해 물의 경도가 갖는 중요성과 경도 측정의 원리 및 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1.2. 물의 경도 정의 및 중요성
물의 경도란 물 속에 녹아 있는 칼슘(Ca2+)과 마그네슘(Mg2+)과 같은 2가 금속 양이온의 양을 CaCO3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물의 경도는 물의 종류를 분류하는 중요한 척도로 활용된다.
물 속에 녹아 있는 물질들(Ca2+와 Mg2+등의 2가 금속 양이온들)의 양이 기준보다 많으면 '센물(경수)'로 분류되며, 그 이하이면 '단물(연수)'로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CaCO3의 양이 0~75 ppm이면 단물, 75~150 ppm이면 비교적 센물, 150~300 ppm이면 센물, 300 ppm 이상이면 아주 센물로 구분된다. 단물은 경도가 낮아 세탁하기 좋고 식수로 사용하기 적합하지만, 센물은 경도가 높아 비누가 잘 풀리지 않아 세탁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물의 경도는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경도가 높은 센물은 가정용 및 산업용 기기의 스케일 형성을 유발하여 기기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센물을 음용하면 위장장애나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 경도가 지나치게 낮은 단물을 장기간 마시면 Ca2+와 Mg2+ 등 미네랄 부족으로 인한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경도를 가진 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실험 이론
2.1. 물의 경도와 구성 성분
물의 경도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Ca2+와 Mg2+등 2가 금속 양이온의 양을 CaCO3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는 물의 경도를 결정하는 대부분의 성분이 석회이기 때문이다. 경도에 영향을 주는 2가 금속 양이온은 Ca2+, Mg2+, Sr2+, Fe2+, Mn2+ 등이 있다. 물속에 녹아있는 이러한 물질들의 기준을 정해서, 그 기준보다 더 많은 양이 녹아 있으면 '센물(경수)'로 분류하며, 그 이하면 '단물(연수)'라 한다. 통상적으로 CaCO3의 양이 0~75 ppm 이면 단물, 75~150ppm 이면 비교적 센물, 150~300ppm 이면 센물, 300ppm 이상이면 아주 센물로 구분된다. 단물은 경도가 낮은 물로, Ca2+와 Mg2+가 적게 포함되어 있어 식수로 사용 가능하고 세탁하기 좋은 물이다. 센물은 경도가 높은 물로, Ca2+와 Mg2+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비누가 잘 풀리지 않아 세탁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비누의 카복실산과 양이온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염으로 인해 비누의 저하되기 때문이다. 물을 끓인 후에 남아있는 하얀 물질이 센물을 만드는 석회 성분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