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기반시설과 건축구조물의 누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누수는 건축물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건물 내부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재건 및 수리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 재료 선택 및 시공 기술을 통해 균열을 방지하여 누수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기술 발전으로 인해 균열 방지 및 새로운 방수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최신 기술과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
2. 방수 및 누수 개요
2.1. 누수의 개요
누수란 물이 새어나오거나 새어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건물이나 구조물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건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강도, 단열성, 내구성 등이 저하되어 거주자의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전기, 통신 설비가 훼손되어 생활 기능이 마비될 수 있으며, 도서나 의류, 가구 등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심각한 경우 건물의 안전성능이 저하되어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장기간 방치되면 곰팡이가 번식하여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며, 배관 누수의 경우 수도요금이 크게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누수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모든 수도를 잠근 뒤 수도계량기 별침의 움직임을 확인하거나, 보일러 보충수 밸브를 잠그고 압력이 떨어지는지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벽, 바닥, 천장의 물 자국 및 곰팡이 여부, 누수음 확인, 이전 대비 수도요금 증가 등으로 누수를 의심해볼 수 있다.
2.2. 방수의 개요
방수란 무기, 유기 재료를 방수 바탕면에 침투시켜 불투수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지구환경의 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변화로 방수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장기적 내구수명과 안정성을 갖는 방수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실제로 방수의 기원은 고대의 주거양식과 건축에 사용된 재료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인류가 주거생활을 시작하면서 비와 이슬을 피하기 위하여 지붕을 만들었을 때는 맘모스 상아나 동물의 뼈, 나무 등으로 만든 골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