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산화 능력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항산화 능력 실험 개요
1.2. DPPH assay의 목적
2. 실험 내용과 방법
2.1. 실험 재료 및 기기
2.2. 실험 절차
2.2.1. DPPH 용액 준비
2.2.2. 시료와 DPPH 용액 반응
2.2.3. 흡광도 측정
3. 실험 결과
3.1. 시료별 DPPH 흡광도
3.2. 시료의 항산화 활성 비교
4. 실험 결과 분석
4.1. 항산화 물질의 생리학적 작용
4.2. 시료의 항산화 능력 차이 요인
4.3. 실험상의 한계 및 오차 요인
5. 결론 및 제언
5.1. 실험 결과 요약
5.2.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항산화 능력 실험 개요
항산화 능력 실험의 목적은 포도, 사과, 오렌지, 양파 등 다양한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DPPH assay를 통해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시료별 항산화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DPPH는 안정적인 자유 라디칼을 가진 화합물로,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면 색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시료와 DPPH 용액을 반응시킨 후 517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능력을 비교한다. 항산화 물질은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산화를 막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생리학적 작용이 세포 수준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시료의 종류와 처리 방법에 따른 항산화 능력의 차이와 실험상의 한계 및 오차 요인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1.2. DPPH assay의 목적
DPPH assay의 목적은 각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테스트하고 spectrophotometer의 원리를 이해하며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DPPH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띠는 자유 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용액이며, 517nm에서 파장의 peak를 가진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자유 라디칼이 소거되어 용액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 때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비교할 수 있다.
2. 실험 내용과 방법
2.1. 실험 재료 및 기기
DPPH 용액, 항산화 물질이 포함된 시료(포도, 사과, 오렌지, 양파 등), 피펫과 팁, 큐벳, 어둠상자 등이 사용된다.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항산화 물질은 체내에서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산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 활성 산소는 전자가 결여된 불안정한 분자로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항산화 물질은 활성 산소와 반응하여 안정적인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세포 노화와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gingeron, capsaicin, sesamol, tocopherol, quercetin, gallic acid 등이 있으며, 합성 항산화제로는 BHA, BHT, TBHQ 등이 있다. 또한 우리 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카탈라아제,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 수퍼옥사이드 dismutase 등의 효소들도 항산화 작용을 한다. [
2.2. 실험 절차
2.2.1. DPPH 용액 준비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띠는 자유 라디칼을 가진 화합물이다. DPPH 용액을 준비할 때는 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실험 과정 중 모든 용액을 어두운 환경에서 다룬다. 실험을 위해서는 DPPH 시약과 에탄올(ethanol)이 필요하다. 에탄올은 DPPH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사용한다. 실험에 필요한 DPPH 용액은 517nm 파장에서 최대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므로, 이 파장에서의 DPPH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다.
2.2.2. 시료와 DPPH 용액 반응
항산화 물질로 추정되는 시료와 DPPH 용액을 1:1로 반응시킨다. 5분간 어둠 상자 안에서 반응시킨다. 이 과정에서 항산화 물질이 DPPH의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용액의 색이 변화한다. 이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료의 종류에 따라 DPPH 용액의 색 변화 정도가 다르므로, 각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참고 자료
Nicklisch, S. C., & Waite, J. H. (2014). Optimized DPPH assay in a detergent-based buffer system for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of proteins. MethodsX, 1, 233-238.
Cheeseman, K. H., & Slater, T. F. (1993). An introduction to free radical biochemistry. British medical bulletin, 49(3), 481-493.
네이버 지식백과, “분광광도계”,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27764&cid=62801&categoryId=62801
네이버 지식백과, “분광광도계”,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5915&cid=42420&categoryId=42420
네이버 지식백과, “분광광도계”,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9952&cid=42641&categoryId=42641
네이버 지식백과, “항산화물질”,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7065&cid=40942&categoryId=32392
네이버 지식백과, “활성산소”,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3975&ref=y&cid=40942&categoryId=32251
네이버 지식백과, “활성산소”.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180&cid=58949&categoryId=58983
네이버 지식백과, “포집”. (n.d.),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4310&cid=42434&categoryId=42434
사이언스타임즈, 「몸을 녹슬게 하는 활성산소」, (2010.07.16.), 조재형,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AA%B8%EC%9D%84-%EB%85%B9%EC%8A%AC%EA%B2%8C-%ED%95%98%EB%8A%94-%ED%99%9C%EC%84%B1%EC%82%B0%EC%86%8C/
항산화물질-두산백과 (2020. 10. 23. 방문)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8906
활성산소-생화학백과,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네이버 백과사전 (2020. 10. 23. 방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568&cid=60266&categoryId=60266
분광광도계
파비아의 분광학 강의, Donald L. Pavia, 사이플러스, 2018, page 592.
화학대사전, 세화편집부, 세화, 2001, 네이버 백과사전 (2020. 10. 23. 방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0174&cid=60227&categoryId=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