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과제 _ 과제 듣기와 읽기 문항 만들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평가 필요성
1.2. 한국어 능력평가 시험인 TOPIK의 듣기 평가 현황
1.3.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의 필요성
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 제33회, 제41회 TOPIK Ⅱ 듣기 평가 문항 검토
2.1.1. 문항별 문제점 분석
2.1.2. 문항 개선 방안 제시
2.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2.2.1. 실제성 있는 듣기 자료 구현
2.2.2. 다양한 화자, 주제, 상황 반영
2.2.3. 듣기 능력 평가 구인의 다양화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한국어 듣기 평가 개선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평가 필요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평가 필요성은 외국어 교육에 있어 듣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들어 듣기가 그 자체로서 독립된 하나의 언어기술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듣기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또한 외국어 교육에서 다양한 실제적인 자료들에 대한 중요성이 논의되면서 최근 한국어 듣기교육에도 실제성 있는 듣기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실 밖 실제 대화와 교실 내의 대화가 다르며, 교재에 나타나있는 대화는 실제 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응답하여 듣기 교재가 학습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2. 한국어 능력평가 시험인 TOPIK의 듣기 평가 현황
한국어 능력평가 시험인 TOPIK의 듣기 평가 현황이다.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 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TOPIK은 초급 수준의 TOPIK 1과 중·고급 수준의 TOPIK 2로 나뉘며, TOPIK 1에서는 듣기와 읽기 평가가 이루어지고 TOPIK 2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영역으로 평가 범위가 확대되었다. 2014년부터 새로운 시험 유형으로 개편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학습자들이 TOPIK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 이처럼 TOPIK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3.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의 필요성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의 필요성이다. 외국어 교육에서 듣기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교실 내 대화와 실제 대화가 다르며 교재에 나타난 대화가 실제 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성 있는 듣기 자료와 다양한 화자, 주제, 상황이 반영된 문항이 필요하다. 또한 듣기 능력 평가 구인을 다양화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듣기 평가가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2.1. 제33회, 제4...
...
참고 자료
이수열(1999), 우리글 갈고 닦기, 한겨례출판
국립국어원(2021), 한국어 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ZHANG KE(2021) 한국어 통합 교재의 듣기 자료 실제성 분석, 세종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은정(2002)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한국어능력시험 TOPIK 공식사이트 내 학습하기
https://www.topik.go.kr/TWSTDY/TWSTDY0080.do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이소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평가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박혜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김금숙.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완성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5.- (2019): 57-86.
ZHANG ZHUQIAN. "토픽Ⅱ 쓰기 53번 문항의 교육 내용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20. 서울
황은영,나은영,양주리. "SNS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 54번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 -.12 (2020): 227-247.
TOPIK 홈페이지 https://www.topik.go.kr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평가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