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장균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2.1.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2.1.1. 추정시험
2.1.2. 확정시험
2.1.3. 완전시험
2.2. 대장균군의 정량시험
2.2.1. 최확수(MPN)법
2.2.2. 자동화된 최확수법
3. 실험 재료 및 기구
4. 실험 방법
4.1. 추정시험
4.2. 확정시험
4.3. 완전시험
5. 실험 결과
5.1. 균 A 결과
5.2. 균 B 결과
6.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대장균군 검사의 실험 목적은 여러 가지 시험을 통해 대장균군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대장균군은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으로, 35°C에서 48시간 배양할 때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시키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세균이다. 이들은 자연환경에서 발견되지만 주로 온혈동물의 장관 내에 상재하는 균이다. 따라서 대장균군이 음료수나 식품에서 검출되면 분변오염이 의심되고, 각종 소화기계 전염병균이나 식중독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장균군은 안전한 식품 생산과 유지를 위한 위생관리의 지표균으로 평가된다.
대장균군 시험에는 정성시험과 정량시험이 있다. 정성시험은 추정시험, 확정시험, 완전시험의 3단계로 진행된다. 추정시험은 유당배지(lactose broth)에서 가스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양성인 경우 확정시험으로 넘어간다. 확정시험은 BGLB 배지에서 가스 발생과 EMB 또는 Endo 배지에서 전형적인 대장균군 집락 형성을 확인한다. 완전시험은 확정시험 양성 결과에 대해 그람염색과 포자염색으로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임을 확인한다. 정량시험으로는 최확수(MPN)법과 자동화된 최확수법이 있다. [1,2,3]
2. 실험 원리
2.1. 대장균군의 정성시험
2.1.1. 추정시험
대장균군은 그람음성,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간균으로, 35°C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시키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세균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유당배지를 통해 대장균군의 존재 여부를 추정시험할 수 있다.
우선, 유당배지(lactose broth)에 시료를 접종한 후 35~37°C에서 24±2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후 유당배지 시험관 내 Durham관에 가스가 발생하면 시료에 대장균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만약 24±2시간 내에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배양을 계속하여 48±3시간까지 관찰한다. 48±3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추정시험은 음성으로 판정한다.
추정시험에서 양성 결과를 나타낸 시료는 다음 단계인 확정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추정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2.1.2. 확정시험
추정시험에서 가스발생이 있었던 유당배지발효관(양성 결과를 나타낸 시험관)에서 1백금이를 취해 BGLB 배지에 접종한다. 그 후 BGLB 배지를 35~37℃에서 2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가스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24±2시간 내에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배양을 계속하여 48±3시간까지 관찰한다. 가스가 발생한 BGLB 배지로부터 Endo 한천배지 또는 EMB 한천배지에 획선으로 접종하여 배양한다. 배양을 끝낸 후에 전형적인 대장균군의 집락이 발생했을 경우 확정시험을 양성으로 판정하고, 비전형적인 집락이 발생했을 경우 음성으로 판정한다. EMB aga...
참고 자료
식품공전
실험제본책
https://blog.naver.com/desia01/221471444066
[네이버 지식백과] 메틸레드검사 [methyl red test, ~檢査]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에 따른 식품의 미생물 시험 방법 (축산물공전 통합, 2017.01.
https://blog.naver.com/blank-/220389388915
식품미생물학& 실험, 홍태희 외, 지구문화사, 333-335쪽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박영현 외, 보문각, 315-3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