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공신장실 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혈액투석 환자 간호서비스 질 향상 활동
1.1. 문제 개요 및 필요성
1.2. 활동 구성원
1.3. 문제 원인 파악
1.4. 문제의 인과관계 이해
1.5. 개선을 위한 도구 선정
1.5.1. 환자 대상 설문조사
1.5.2. 목표 설정
1.6. 개선 활동 계획
1.6.1. 대상자 측면
1.6.2. 간호사 측면
1.6.3. 환경적 측면
1.7. 활동의 효과 파악 및 환류
2. 응급 뇌졸중 환자 신속진료 체계 구축
3. 수술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정보 제공 활동
4. 혈액투석 적절도 향상을 위한 QI 활동
5. 협력 의료기관과의 유대관계 강화 CRM 활동
6. 투약오류 경험률 감소를 위한 시스템 개선 활동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혈액투석 환자 간호서비스 질 향상 활동
1.1. 문제 개요 및 필요성
혈액투석은 1960년대부터 만성신부전의 신대체요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가 늘고 있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한신장학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혈액투석 환자 수는 9만 901명으로 2014년 대비 22.8% 증가했다.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대부분은 매회 4~5시간씩 일주일에 2~3회 혹은 그 이상으로 투석을 받는다. 이처럼 혈액투석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생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이다.
하지만 장기간의 투석으로 인한 불안감과 신체적 불편감, 자기효능감 저하, 정상적 사회활동의 불가능, 치료비와 관련된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이는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혈액투석 환자는 평소 스스로 혈관 통로를 잘 관리하고 적절한 음식섭취와 약물 복용 및 꾸준한 운동을 통한 자가 간호행위가 필수적이다. 이처럼 철저하게 자신의 행동을 제한해야 하지만 장기간 지속해서 자가 간호를 수행하기란 쉽지 않으며 많은 것을 수행해야 하는 데 올바른 정보가 필요하다.
이에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생활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QI 활동을 계획하였다. 혈액투석 환자는 신 질환으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증상과 합병증이 동반되기 때문에 전문적이고 전인적인 간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의학적, 경제적, 정신적인 부담이 가중되어 있어 정서·심리 상태에 대해서도 적절한 간호중재를 시행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환자 스스로 자가 간호행위를 꾸준히 실천하기 위해 환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의료진과 환자 간 원활한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더불어 혈액투석은 오랜 기간 받게 되며 여러 사람과 접촉하고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이로 인해 장시간 머무름에도 편안하고 감염에 안전한 투석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에 혈액투석 환자에 대한 간호적·환경적·대상자적 측면의 활동을 통해 양질의 투석환경을 제공하며 투석환자의 신체적·정서적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한다.
1.2. 활동 구성원
활동 구성원은 팀장 1명과 팀원 5명으로 구성되었다. 팀장은 자료조사, 문제 개요와 필요성 정리, 인과관계도 정리, 환경적 측면 목표 설정 및 지표 정의, 개선계획 작성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팀원들은 각자 자료조사와 대상자 측면, 간호사 측면, 환경적 측면에 대한 목표 설정 및 지표 정의, 개선계획 작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1.3. 문제 원인 파악
문제 원인 파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대상자 측면에서는 투석으로 인한 제한적인 활동과 음식섭취, 소양감으로 인한 불면증으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워하고, 장기적인 투석에 대한 사회적 지지자원이 부족하여 경제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랜 기간 투석 생활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간호사 측면에서는 간호사의 권위적이고 일방향적인 태도와 정서적 지지 부족, 간호 인력 부족으로 환자와 간호사 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환자의 증상과 부작용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가 부족하고 간호에 대한 낮은 숙련도로 간호사의 직무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환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양질의 환자 교육 및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측면에서는 투석기계와 환자들의 소음을 방지하기 어렵고, 인공신장실의 침구 재사용과 낮은 소독률, 협소한 침상 간격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문제와 관련된 대상자 측면,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간호역량 부족의 간호사 측면, 그리고 투석 환경의 위생과 소음 관리 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이 혈액투석 환자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4. 문제의 인과관계 이해
인과관계 이해에 따르면,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대상자 측면, 간호사 측면, 환경적 측면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대상자 측면에서는 투석으로 인한 제한된 활동과 음식섭취, 소양감으로 인한 불면증 등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또한 장기적인 투석에 대한 사회적 지지자원 부족과 경제적 부담감이 환자의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간호사 측면에서는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부족, 환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 미흡, 그리고 간호사의 낮은 숙련도로 인해 환자의 증상과 부작용에 대한 차별화된 중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투석기계와 환자들의 소음, 낮은 인공신장실 소독률과 좁은 침상 간격으로 인해 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다각도의 문제점들이 상호 연관되어 혈액투석 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5. 개선을 위한 도구 선정
1.5.1. 환자 대상 설문조사
QI 활동을 위해 병원 내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QI 활동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를 통해 혈액투석 환자의 개선 요구도를 조사하여 QI 활동의 목표와 개선 활동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설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경제적 또는 정서적 문제에 대한 상담 및 지원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문항이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혈액투석 환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환자의 건체중 관리와 자가 관리에 대한 교육 및 정보 제공의 충분성을 묻는 문항이 있다. 이는 투석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간호사와의 의사소통 및 간호 서비스에 대한 불편감을 조사하는 문...
참고 자료
권민정. (2017).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만족도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길초롱&성경미. (2018). 혈액투석 환자들이 경험하는 치료지시이행의 어려움. 재활간호학회지, 21(2), 71-82
김미순. (2005).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신체적 기능상태 영향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김영미, 전인숙&박영미. (2012). 간호사를 위한 혈액투석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12), 5839-5848.
김은영&김진선. (2004).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6(4), 597-607
박경엽. (2016). 혈액투석환자의 희망, 극복력, 자가간호역량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박준수. (2017). 간호사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차이. 성인간호학회지, 29(2), 166-176.
서남숙, 강승자, 김재희 (2017).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7), 688-698.
염은이&김미영. (2014). 혈액투석 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 성인간호학회지, 26(3), 275-286.
윤승범. (2008).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병동 간호사들의 자아존중감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이재순 외 5명. (2004). 혈액투석 환자와 투석실 간호사가 기대하는 투석실 간호사의 역할 분석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2004(7), pp. 43-62.
이희수, 정은숙, 최경아&유승오. (2016).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특성이 근거기반 혈액투석간호지식과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2(2), 225-237.
임현정. (2017). 혈액투석 환자의 의료의 질 평가 인식과 의료기관 선택 및 만족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원, 서울.
전영미, 박상연. (2015). 혈액투석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7), 4816-4827.
주혜숙&박명화. (2018).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277-288.
한올, 박효정. (2020). 혈액투석 남성 환자의 성기능, 우울,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645-655.
S. D. Weisbord, L. F. Fried, R. M. Arnold, A. J. Rotondi, M. J. Fine, D. J. Levenson, G. E. Switzer. (2004). Development of a symptom assessment instrument for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the Dialysis Symptom Index. J Pain Symptom Manage, 27(3), 226-240.
공용물품 사용까지 꺼리는데… 병원이 문제다. (2020.02.04.). 경북신문,
http://m.kbsm.net/view.php?idx=268036
대한간호협회 KNA에듀센터,
https://edu.kna.or.kr/lms/front/courseApply/doDetailCourseView.do?openingclassno=191
박민욱. (2021.01.11.). 인공신장실서 코로나 확산세 "비상상황, 격리투석 지켜져야". 메디파나뉴스,
http://m.medipana.com/news_viewer.asp?NewsNum=269618&MainKind=A&NewsKind=5&vCount=4&vKind=1
오인규. (2020.10.29.). 말기신부전 투석 치료, 디지털 관리 플랫폼 주목.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6970
이균석. (2008.03.12.). [당신의신장은건강한가](상)만성신부전증 환자를 만나다. 경남도민일보,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47206
이영기. (2018.03.04.). [건강 에세이] 혈액투석실 설치기준도 없는 나라.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RWUMRM1YG
혈액 투석환자 4년간 23% 증가…고령화로 당뇨·고혈압 많아진 탓, 연합뉴스. [웹사이트]. (2020.07.21). https://www.yna.co.kr/view/AKR20200721088300530
홍미현. (2017.11.27.). 강릉아산병원 ‘인공신장실’ 확장 이전. 의사신문,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0945
건강보험신사평가원 QI뉴스레터,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806/qi_sub201806_03.html#ebook
건강보험신사평가원 QI뉴스레터,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803/qi_sub201803_03.html#ebook
건강보험신사평가원 QI뉴스레터,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412/qi_sub201412_04.html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712/qi_main201712.html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뉴스레터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708/qi_sub201708_02.html
(부산의료원)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703/qi_sub201703_02.html
(파주병원)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803/qi_sub201803_03.html
(연세용인세브란스)
file:///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5FG921ET/11%20QI%20우수사례.111941%20(1).pdf (대한병원협회지, 을지대학병원)
http://www.hira.or.kr/images/11/newsletter/qinews1406/qi_sub201406_04.html
(울산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