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24년2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쟁 같은 맛
1.1. 기억과 치유의 여정
1.2. 전쟁 같은 맛과 미국의 꿈
1.3. 가족의 이야기와 문화적 유산
1.4. 조현병과 사회적 죽음
1.5. 치유와 회복의 가능성
1.6. 가족, 기억, 그리고 치유의 힘(개인적인 생각과 결론)
2. 회귀모형
2.1. 교재 연습문제 1장
2.2. 교재 연습문제 2장
3. 데이터시각화
3.1. 뉴스에 데이터 시각화가 쓰인 사례
3.2. 원/달러 환율과 원/100엔 환율 변화 시각화
3.3. 세계 지도에 국가 경제수준 그룹 표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쟁 같은 맛
1.1. 기억과 치유의 여정
"『전쟁 같은 맛』은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기억과 정신 건강, 그리고 전쟁이라는 거대한 역사의 비극이 세대를 넘어 어떻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이 작품에서 저자는 자신의 어머니와 그 가족사를 되짚으며, 그들이 겪은 전쟁과 이주의 경험이 남긴 깊은 상처들을 조심스럽게 파헤친다.
그레이스의 어머니, 군자는 한국전쟁의 혼란과 고통 속에서 생존한 인물로, 이주 과정에서 또 다른 어려움과 도전에 직면한다. 그녀의 경험은 단순한 개인적 고난을 넘어선다. 전쟁과 이주로 인해 파괴된 삶 속에서 군자는 강인함을 가지고 살아남지만, 그 과정에서 마음속에 깊은 상처가 새겨진다. 이 책을 통해 이러한 여성의 강인함이 단순히 그녀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 강인함이 세대에 걸쳐 어떻게 전달되고 이어지는지를 목격하게 된다.
이주 여성으로서 군자는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남아야 했고, 이러한 경험이 그녀의 딸인 그레이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 기억은 이 책에서 단순한 과거의 회상이 아니다. 기억은 치유의 핵심적인 도구로 작용한다. 그레이스는 가족의 이야기를 되짚으며, 어머니의 고통과 상처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기억은 과거를 다시 마주하고, 그 고통을 해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레이스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자신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그 기억을 통해 그녀는 과거와 화해하고 치유의 과정을 시작할 수 있었다."
1.2. 전쟁 같은 맛과 미국의 꿈
책의 1부는 그레이스 M. 조의 가족이 겪은 전쟁과 이주의 과정을 중심으로 그들의 고난과 상처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 "전쟁 같은 맛"이라는 책 제목 자체가 암시하듯이, 이 책은 전쟁과 이주로 인한 고통스럽고 혼란스러운 경험을 일종의 '맛'으로 표현한다. 이는 단순한 은유를 넘어, 전쟁과 이주가 남긴 깊은 상처와 그 기억이 일상 속에서 어떻게 다시 떠오르는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그레이스의 어머니인 군자는 한국전쟁 동안 겪었던 트라우마, 그리고 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직면한 다양한 문화적 충격을 경험하며, 새로운 삶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한다. 군자의 이야기는 단순한 이주 경험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전쟁이라는 국가적 비극 속에서 그녀가 겪은 개인적인 트라우마는 이후의 삶 전반에 걸쳐 그녀를 괴롭히게 된다. 전쟁으로 인한 혼란과 상실은 군자의 내면에 깊은 흔적을 남겼고, 이는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도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새로운 환경에서의 삶 또한 녹록지 않았다. 그녀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 인종차별, 그리고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생존해야 했으며, 이러한 경험들은 그녀가 꿈꾸던 아메리칸 드림과는 너무나도 동떨어진 현실을 보여주었다. 미국에서의 삶은 그녀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동시에 끊임없는 도전과 좌절을 안겨주었다. 이주민으로서 그녀는 자신과 가족을 위해 더 나은 삶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지만, 미국 사회에서의 현실은 잔혹했다.
군자가 마주한 현실은 그녀가 꿈꾸던 이상과는 크게 달랐고, 그 과정에서 느끼는 좌절감과 고통은 그녀의 정신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전쟁에서 겪은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한 채, 새로운 환경에서의 도전 속에서도 다시 한번 심리적으로 큰 상처를 입게 된다.
책을 읽으며 나는 이주민의 꿈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얼마나 큰지를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이상은 종종 이주민들에게 희망을 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새로운 땅에서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겪는 고난과 좌절은 이주민들에게 깊은 상처로 남는다. 특히 전쟁을 겪은 이주민들에게 이러한 경험은 더욱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레이스의 어머니 군자가 겪은 것처럼, 전쟁의 트라우마는 쉽게 치유되지 않고, 새로운 환경에서의 도전과 결합되어 그녀의 정신 건강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책은 그러한 현실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이주민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결국, "전쟁 같은 맛"은 이주민의 삶이 단순히 아메리칸 드림을 이루기 위한 여정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들의 삶은 전쟁과 이주의 고통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치열한 투쟁이며, 그 과정에서 겪는 정신적, 육체적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 이 책을 통해 나는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어려움과 그들이 겪는 깊은 상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고통이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이 아닌 사회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깨...
참고 자료
그래이스 M. 조(지음), 주해연(옮김).(2023). 전쟁 같은 맛. 글항아리
R을 이용한 회귀모형, KNOU PRESS, 2024
https://online.stat.psu.edu/stat462/node/91/
https://github.com/marzieh-zamani/ML_1_Simple_Linear_Regression/blob/master/data/Fish.csv
https://github.com/Vinayak409/Real-estate-price-prediction/blob/master/Real%20estate.csv
박서영, 이긍희(2023), 데이터시각화, 출판문화원.
후지 토시쿠니 , 와타나베 료이치(2020), 데이터 시각화 입문, 로드북.
유충현 , 홍성학(2015), R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인사이트.
David W. Gerbing(2022), R 데이터 시각화 쉽게 배우기, 황소걸음 아카데미.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https://www.naturalearthdata.com/downlo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