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그 의미를 정리하고, 어떻게 배열하면 좋은지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와 함께 그에 해당하는 예문을 5개 제시하십시오. 4 페이지 한컴오피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교육에서의 문법 항목 선정과 배열
1.2.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교육 적용
2.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분류
2.1.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 나타내기
2.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 나타내기
2.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 또는 상태 나타내기
2.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 나타내기
3. 연결어미 '-니까'의 교육 배열 순서
3.1. 원인이나 근거 나타내는 '-니까'(초급)
3.2. 발견의 '-니까'와 행동 후 발견의 '-니까'(중급)
3.3. 관용적 사용의 '-니까'(중급-고급)
4. 결론
4.1. 연결어미 배열의 중요성
4.2. 학습자 수준에 따른 단계적 '-니까'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교육에서의 문법 항목 선정과 배열
한국어 교육에서는 사용 빈도, 난이도, 일반화 가능성 정도, 학습자의 기대에 따라 문법 항목을 선정하고 단계화하고 있다. 이는 동일한 문법 항목이라도 용법상의 난이도에 따라 달리 배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열 기준은 문법 요소의 선정 및 배열이 학습 단계별, 교재의 주제별, 학습자의 학습 목적별, 언어 기능별로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연결어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연결어미인 '-니까'의 용법을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니까'는 총 네 가지 의미로 나뉘는데, 이를 용법상의 난이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배열하여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초급 단계에서는 '-니까'가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의미를 교육한다. 이는 회화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쉬운 문법 구조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급 단계에서는 '-니까'가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내는 '발견의 -니까'와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행동 후 발견의 -니까'를 교육한다. 이는 더 복잡한 용법으로 초급 단계보다 난이도가 있기 때문에 중급 이상의 학습자에게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중급-고급 단계에서는 '-니까'가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내는 '관용적 사용의 -니까'를 교육한다. 이는 회화에서 사용 빈도가 낮은 편이며, 다른 '-니까' 용법을 학습한 후에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처럼 연결어미의 선정과 배열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다.
1.2.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교육 적용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뒤에 오는 말에 대하여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며, 둘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낸다. 셋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며, 넷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낸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이러한 '-니까'의 네 가지 의미를 단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초급 단계에서는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니까'를 교육한다. 이는 가장 기본적이고 실제 회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중급 단계에서는 발견의 '-니까'와 행동 후 발견의 '-니까'를 교육한다. 이 단계에서는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이 더 엄격해지므로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다룬다. 중·고급 단계에서는 관용적 사용의 '-니까'를 교육한다. 관용적 표현은 의미의 투명성이 낮아 학습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제시한다.
이처럼 '-니까'의 의미를 단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연결어미의 복잡한 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의사소통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문법 항목의 배열은 학습자의 수준과 요...
참고 자료
한국어교육용 연결어미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 구어·문어 빈도 및 교재 중보도 등의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이현정, 최영롱)
연세한국어사전,199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아서, -니까’의 교육방안,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김희정, 2011
한국어 인과 표현 교육 내용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이효정, 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와‘-니까’의 교육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우령려, 2013
접속 어미 ‘니까’의 통사와 의미, 국어교육학회, 황미향, 2015
원인 이유의 연결어미 ‘-아서’와 ‘-니까’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지용,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교안,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김제열, 연세대학교)
네이버 국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