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일화기록법의 이해
1.1. 일화기록법의 개념
일화기록법의 개념은 영유아의 한 가지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서술로 짧게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는 직접 관찰한 것을 즉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하며, 관찰행동의 상황(맥락)을 포함하고, 관찰 상황에 대한 해석은 별도로 제시한다. 또한 관찰대상의 특정 시간에 나타난 특정 사건을 서술식으로 기록한다. 일화기록법은 영유아의 발달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찰 아동의 구체적 행동 사례나 사건을 가장 자세히 기록하는 방법으로, 보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영유아 평가 방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화기록법은 일상생활 속에서 아동발달의 여러 측면을 볼 수 있고, 이는 아동발달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화기록을 통한 객관적 해석과 분석을 통해 유아의 특성이나 발달 수준에 맞게 지도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관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내용을 기록함에 있어 보육교사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고, 관찰 아동의 컨디션에 따라 행동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화 기록에만 초점을 두고 관찰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맞는 관찰방법을 선택하여 적절한 관찰을 해야 한다. 일화기록은 영유아의 발달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관찰 방법이며, 이를 통한 객관적 해석과 분석은 유아의 특성이나 발달 수준에 맞는 지도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관찰자의 주관적인 편견이 개입될 수 있어 관찰 내용을 기록할 때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기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2. 일화기록법의 특성
일화기록법은 관찰 즉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하며, 관찰행동의 상황(맥락)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관찰대상의 특정 시간에 나타난 특정 사건을 서술식으로 기록하므로, 마치 사진을 보는 것과 같이 사실적으로 묘사되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일화기록법은 비형식적 특성으로 인해 우발적인 영유아 행동 기록에 적절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고, 관찰대상 아동의 컨디션에 따라 행동 특성이 달라질 수 있어 일화기록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상황에 맞는 다양한 관찰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해야 한다.
2. 일화기록법의 기록 방법
2.1. 기록할 내용과 관찰 지침
첫째, 관찰 아동에 대한 배경 정보를 기록한다. 이름, 성별, 관찰일시 등 아동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 및 관찰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록해야 한다. 둘째, 관찰 상황에 대한 배경 정보를 기록한다. 누구와, 어떤 상황에, 무슨 일로 사건이나 행동이 나타나는지 상세히 기록해야 한다. 셋째, 관찰 아동과 주변 친구들에 대한 행동과 언어적 반응을 자세히 기록해야 한다. 넷째, 관찰 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