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등학교 과학 수업 예시 세종대왕 탐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젝트 개관
1.1. 역사 인물 프로젝트의 필요성
1.2. 세종대왕의 교육적 가치
1.3.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2. 프로젝트 활용 자료
2.1. 자료의 출처 및 해제
2.2. 참고문헌
3. 프로젝트 내용 구성
3.1. 차시별 수업 계획
3.2. 차시별 약식 교수-학습 지도안
3.3.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 개관
1.1. 역사 인물 프로젝트의 필요성
역사는 과거 사건의 집합체이며 역사가의 주관적 재구성이다. 이러한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과거 사실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시대 맥락과 인물의 행위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사 인물 프로젝트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학생들은 역사 인물의 내면을 탐구하고 이를 자신의 삶과 연관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역사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시작되는 시기로, 역사 인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역사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역사 인물 프로젝트는 초등 역사 교육에서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1.2. 세종대왕의 교육적 가치
세종대왕은 백성을 사랑하고 신하들을 아꼈으며 학문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지대한 업적을 남긴 이상적인 군주이다. 세종대왕은 농학, 문학, 사학, 언어학, 음악, 수학, 과학, 천문학 등 당대 모든 분야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러한 그의 업적은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자주적인 역사의식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우리의 언어인 한글의 시작이자,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언어로서 우리나라 말과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한다는 큰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종대왕의 앙부일구, 자격루, 칠정산 편찬 등의 업적에서 조선의 발달된 과학 기술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세종대왕의 화려한 업적으로 인해 그가 막연하게 먼 위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화려한 모습보다는 그의 인간적인 면모가 담긴 일화, 훈민정음 반포 과정에서의 신하들과의 갈등 속 고민과 고뇌가 가득한 일화 속에서 세종대왕이 우리와 같이 고민을 하고 갈등이 있었던 한 명의 인간임을 느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역사 속 인물을 단순히 업적만이 아닌 인간적 면모까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세종대왕에 대한 교육은 큰 의의를 지닌다.
1.3.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이다. 현 2015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는 세종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에 대한 다양한 일화에 대한 서술된 부분은 극히 일부이며, 세종의 업적 위주의 문화적인 내용만 다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세종'이라는 인물을 탐색하고 그것을 학생들의 삶에 가져오기 위해서는 우선 세종의 생애...
참고 자료
송인주,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역사 탐구》 양성원, 2016.
≪세종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백승종, 『세종의 선택』, 사우, 2021
세종, 『세종의 말』, 소울메이트, 2016
국립국어원, 『(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생각의 나무, 2008
박종국,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세종문화문고, 1989
박현모, 『세종이라면』, 미다스북스, 2014
구만옥,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들녘, 2016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고정욱, 『고정욱 선생님이 들려주는 세종대왕』, 산하, 2006
정윤재(2007), 세종의 정치 리더십 과정 연구, 동양 정치상사 제6권 제 1호, 5-22
강상규(2016), 공감능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세종의 정치적 리더십, 한국동양정치 사상사 연구 제15권 제2호, 63-91
정미란(2016), 초등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사 인물과 그 이유, 역사와 교육 제31호, 30-66
최남석(2016), 세종대왕의 리더십 이론,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