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포츠 윤리와 운동부 지도 방안
1.1. 서론
2011년 프로축구(K리그) 승부조작, 2012년 프로야구(KBO)와 프로배구(V리그)의 승부 조작, 2013년 프로농구(KBL) 유명 선수였던 감독의 승부조작 사건 등 프로스포츠에서 윤리적인 큰 이슈인 승부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역사적으로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일본 프로야구에서 구로이키리(검은 안개)로 기억되는 야오초(승부조작) 사건이 발생했다. 대만도 1996년 도박업체의 프로야구 개입으로 관중 수가 연간 165만 명에서 30만 명으로 줄었다. 과거에는 11개 구단이 양대리그를 운영했지만 지금은 4개 구단으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승부조작 뿐만 아니라 종목과 상관없이 음주, (성)폭력, 도박, 약물 복용, 네거티브 파울, 부정행위 등 다양한 윤리적 문제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스포츠 지도자들도 예외는 없다. 지도자들의 윤리적 문제는 입학 비리, 선수 폭행, 성추문, 뇌물수수, 승부조작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보도되어 왔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문제는 대부분 도덕적, 윤리적 문제이며, 스포츠의 근간과 산업적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 지도자의 윤리적인 문제는 선수와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인적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면서 지도자 육성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과 자격제도가 중요해졌다. 특히,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이해, 스포츠 일탈, 윤리 행동 기준, 인권, 직업 윤리, 윤리적 의사결정 과제 등은 지도자 교육의 필수 요건으로 자리잡았다. 본 과제에서는 스포츠 윤리의 측면에서 역도 종목의 효과적인 운동부 지도 방안에 대해 탐구해본다.
1.2. 스포츠 윤리 교육의 필요성
스포츠 윤리 교육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문제는 대부분 도덕적, 윤리적 문제이며, 스포츠의 근간과 산업적 가치를 훼손하고 있다. 특히 지도자의 윤리적 문제는 선수와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지도자 육성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과 자격제도에서 현대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이해, 스포츠 일탈, 윤리 행동 기준, 인권, 직업 윤리, 윤리적 의사결정 과제 등이 필수 요건으로 자리잡았다. 스포츠 윤리 교육은 스포츠 생태학적인 방법으로 접근되어야 하며, 스포츠의 유지와 생존에 없어서는 안 될 영역이다. 특히 스포츠의 생존과 안전에 대한 우려와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노력은 스포츠의 가치와 연결되므로, 단순히 신체적 행동을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은 스포츠계 전체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윤리는 현장 중심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1.3. 스포츠 윤리 교육의 방향
1.3.1. 이론과 사례의 결합
교육이 윤리적 이론을 강조하기보다는 실제 사례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사례기반 교육은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다. 현장 및 이론 체계가 연결되었을 때 보다 직접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론과 사례의 결합은 스포츠 윤리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교육하면, 실제 상황에서 이를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방식이다. 단순히 이론적 개념만을 전달하는 것보다는 실제 사례를 보여주고, 그에 대한 토론이나 분석 과정을 통해 윤리적 판단력을 기를 수 있다. 이처럼 이론과 사례를 결합한 교육 방식은 스포츠 윤리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육생의 실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2.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준 및 내용 명확화
스포츠 분야에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준과 내용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스포츠 윤리 교육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스포츠 분야 전반에 걸쳐 윤리적 기준과 내용이 명확히 정립되어야 한다.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윤리적 문제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선수 폭행, 성추행, 승부조작 등 다양한 범죄 행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처벌 수준이 정립되어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미한 문제로 여겨져 왔던 언어폭력, 차별, 부정 행위 등에 대한 기준도 세밀히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스포츠 윤리 교육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방법이 체계화되어야 한다. 단순히 윤리 이론을 강조하기보다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장 적용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포츠 윤리 교육에 참여하는 강사진의 전문성도 함께 제고되어야 한다. 윤리학, 법학, 심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이와 같이 스포츠 윤리 교육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스포츠 현장에 적용 가능한 명확한 윤리 기준 마련과 함께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스포츠 지도자들의 윤리 의식이 제고되고, 나아가 건전한 스포츠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3.3. 학문적 융합과 의사소통 증진
학문적 융합과 의사소통 증진은 스포츠 윤리 교육에 있어 중요한 측면이다. 스포츠 윤리는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학문적 경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