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특수교육 미술
특수교육 현장에서 미술 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애 학생들에게 미술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통로이자, 자신감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더불어 미술 활동을 통해 감각 기능 발달과 심미안 제고, 대인관계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수교육 미술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장애 유형과 정도, 발달 수준, 흥미 등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구성된다. 특히 환경과 미술의 관계,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작품 만들기 등의 주제는 장애 학생들의 감성적 반응을 이끌어내고 창의적 표현을 돕는다.
단원 연구 단계에서는 단원의 개관, 목표, 지도상 유의점, 생활과의 연계, 평가 계획, 지도 계획 등을 면밀히 검토한다. 학생의 실태 분석을 통해 개별 학생의 현재 수준과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수준별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본시 지도 계획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 평가 계획, 판서 계획, 좌석 배치, 작품 예시 등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특히 학생의 장애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활동 참여 촉진전략과 문제행동 관리 방법을 마련한다.
이처럼 특수교육 현장에서 미술 교육은 장애 학생의 능력 계발과 정서적 안정, 사회성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체계적인 단원 연구와 수준별 학생 분석을 통해 구현되는 특수교육 미술은 장애 학생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통합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2. 단원 연구
2.1. 단원의 개관
우리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감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환경에는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이 포함되며, 장애 학생들에게 이 환경은 삶의 터전이자 다양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느낄 수 있는 큰 미술관이 된다. 이 단원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시각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아름다움을 지각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조형물과 생활 속에서 매일 경험하는 다양한 장면의 아름다움을 찾고 느껴 보는 활동을 통하여, 우리 주변의 다양한 시각 문화가 사람들의 삶을 여유롭게 하며 환경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바꾼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2.2. 단원의 목표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적인 아름다움이 깃든 조형물을 찾아보고 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찾아보고 새롭게 표현할 수 있다. 학생들은 거리와 공원 등을 아름답게 하는 정류장, 벽, 간판 등을 찾아볼 수 있다. 학생들은 도시를 아름답게 만드는 시각 문화에 관심을 느끼고 그러한 시각 문화를 찾아볼 수 있다. 학생들은 우리 주변을 아름답게 꾸미는 조형물을 여러 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