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양대학교 대학원 인공지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로봇의 개발과 발달
1.1. 고대와 근대
1.2. 1차 성장기
1.3. 2차 성장기
1.4. 현재
2. 미래 로봇의 응용분야와 능력
2.1. 군사로봇
2.2. 산업로봇
2.3. 실험로봇
2.4. 원자력 로봇
2.5. 농업로봇
2.6. 우주로봇
2.7. 교육로봇
2.8. 장애로봇
3. 소프트웨어의 중요성
3.1. 4차 산업혁명과 소프트웨어
3.2.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
4. 컴퓨터의 구성요소
4.1. 입력장치
4.2. 출력장치
4.3. 처리장치
4.4. 기억장치
4.5. 보조기억장치
5.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5.1. 컴파일러의 역할
5.2. 인터프리터의 역할
5.3. 기능적 차이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로봇의 개발과 발달
1.1. 고대와 근대
BC 2세기 전반에 활약하였던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발명가인 크테시비오스는 정교한 물시계를 개발하였는데 이것이 로봇의 기원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다. 이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적 미술가이자 과학자·기술자·사상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인체 해부를 통해 인간의 장기, 근육을 관찰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세계최초의 인간형 로봇의 디자인을 남겨 후세에 많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근대의 로봇산업은 1930년대 미국에서부터 시작하였는데, 인간의 외형을 한 일렉트로(Electro)라는 로봇을 만들었고 이 로봇은 음성명령을 통해 걸을 수 있었고 70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하고 머리와 팔을 움직일 수 있었다.
1.2. 1차 성장기
1954년 조지 데볼이 세계 최초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로봇을 고안하였고 1961년 조세프 엥겔버그와 조지 데볼이 함께 설립한 유니메이션(Unimation)에서 세계 최초의 산업용 로봇인 유니메이트(Unimate)'를 GM과 FORD 사에 설치함으로써 산업용 로봇 시대를 열게 되었다"이다.
1.3. 2차 성장기
1975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빅터 셰인만 교수가 최초의 로봇팔인 "Stanford Arm"을 개발하였고, 1973년 일본 와세다 대학의 가토 이치로(Ichiro Kato) 박사가 최초의 실물크기의 인간형 로봇 "WABOT -Ⅰ"을 개발하면서 2차 성장기가 시작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는 일본에서 로봇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와세다 대학의 가토 이치로 박사가 동적움직임이 가능한 'WL-9DR'을 개발하였고, 1984년에는 두 손으로 피아노를 연주하며, 페달까지 밟을 수 있는 'WABOT- II'를 개발하면서 일본은 휴머노이드 로봇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2차 성장기에는 일본이 로봇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4. 현재
1990년부터 현재까지는 지능형 로봇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로 기존의 산업용 로봇 연구에서 인간의 생활에 밀접하게 활용되는 지능형 로봇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험한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로봇과 같이 인류의 삶에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구조와 인간의 삶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실업률이 높아지고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또한 로봇이 일상생활에 접목되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산업이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로봇에 접목하여 지능형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로봇의 자율성과 적응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로봇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인간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로봇은 더 이상 공상과학의 영역이 아닌 우리의 현실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2. 미래 로봇의 응용분야와 능력
2.1. 군사로봇
군사로봇은 군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 로봇의 원칙에 따르면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히지 않아야 한다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만, 군사적 목적을 위해서는 이를 배제하고 오히려 로봇이 자신을 희생하여 인간을 구조해야 한다는 맥락에서 미래의 병기로 로봇이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 로봇 공학의 군사적 분야에는 폭발물 해체, 기뢰 탐사 등을 활용 분야로 보고 있다. 무인 비행기나 무인 자동차와 같은 무인 로봇을 통해 인간이 직접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런 무인 로봇이 점차 지능화되고 자율성을 갖추게 됨에 따라 전쟁에서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폭발물 제거 로봇은 폭발물 수색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뢰 탐지 로봇은 지뢰 탐지와 제거 작업을 통해 안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군사 분야에서 로봇은 인간이 수행하기 위험한 작업을 대신 수행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향후에는 이러한 군사로봇의 기능이 더욱 발전하여 정찰, 공격,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무인 항공기를 통한 정찰 활동, 무인 지상 차량을 이용한 공격, 그리고 방어 로봇을 통한 방어 등의 형태로 군사 작전에 활용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군사로봇은 인간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작전을 대신하여 수행함으로써 군사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2. 산업로봇
산업로봇은 현재 실용화 단계에 접어든 지 오래며, 초창기에는 물건 운반, 스폿 용접, 페인트 분무 등에 응용되었다. 처음에는 ...
참고 자료
전봉경(2011), 지능형 로봇산업의 발전전략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p13-14
김원준(2010), 국제 비교를 통한 국내 로봇산업의 발전전략 (D사의 마케팅 강화 전략),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p8
[네이버 지식백과] 로봇 [robot]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8296&cid=40942&categoryId=32351]
정용욱, 정구섭(2017), 로봇공학개론, GS인터비전
유영훈 역(2017), 로봇이 온다 (4차 산업혁명의 비밀병기, 로봇), 레디셋고
김기흥, 김명석 외 3명(2016), 로보스케이프 (로봇, 인공지능, 미래사회), 케포이북스
한성현(2004), 로봇공학, 인터비젼
교육부, 미래부(2016) 소프트웨어 교육활성화 기본계획.
김일경(2021).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비즈니스모델과 제품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마승우 (2000) Java Program 변환 WML Script 인터프리터 구현 광운대학교 대학원
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연봉 10억원 줘도 못구하는 NOU 컴파일러 개발자 2021.12.08.
김경태 (2010) 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컴퓨터 구조론의 웹 기반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