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영제의 정의와 특성
1.1. 조영제의 정의
조영제는 단순 X선 촬영으로는 잘 찍히지 않는 부위에 주입하여, 목적하는 장기나 조직의 명확한 X선상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진단용 약제이다. X선검사는 X선의 투과작용과 인체를 구성하는 조직의 흡수차를 사용하는데, 주위 조직과의 X선 흡수차가 작은 장기(식도·위·쓸개·신장·혈관 등)는 X선상으로는 식별이 어려우므로 이때 조영제가 사용된다.
1.2. 조영제의 구비조건
조영제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아야 한다. 조영제는 인체에 투여되는 약물이므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조영제는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둘째, 조직간 흡수차가 크고 미세부위 관찰이 용이해야 한다. 조영제는 주변 조직과의 X선 흡수도 차이를 이용하여 관심 부위를 잘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미세한 부위까지 정확히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생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조영제는 체내에서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원래의 특성을 계속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검사 후 흡수, 배설,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 조영제는 검사 후 신속히 흡수되고 배설되며, 체내에 오랫동안 남아있지 않아야 한다.
1.3. 조영제의 종류
1900년대 초부터 사용해 왔던 inorganic iodine (sodium iodide)은 benzoic acid 고리에 하나의 iodine 원자를 포함하는 제재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많았다. 특히 Na의 농도가 혈액에 비해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조영제 주입시 심실성 부정맥을 유발하고 sodium citrate가 혈중 칼슘과 결합하여 심한 심근기능저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심한 부작용으로 인해 1950년대 이후 고삼투성 이온 제재인 Ratio-1.5 이온 복합제재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들 제재는 ionic triiodobenzoic acid 유도체로 한 쌍의 양이온과 음이온에 세 개의 iodine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Renografin(Bracco), Hypaque(Nycomed), Angiovist (Berlex)가 많이 사용되었고 이와 유사한 iothalmic acid 제재인 Conray, metrizoic acid 제재인 Isopaque 등이 사용되었다. 이들 제재의 특성으로 sodium농도는 혈액과 비슷하고 pH는 6-7이며 0.1-0.2 mg/mL에 해당하는 소용량의 calcium 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EDTA)를 함유하고 있어 이들 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시켰다. 그러나 관상동맥과 좌심실 조영을 위해서는 320-370 mgI/mL의 iodine 농도가 필요한데 이 농도의 iodine을 포함한 조영제들은 1500 mOsm/kg 이상으로 혈액의 약 6배 정도의 고삼투압으로 이에 의한 부작용의 빈도가 높았다. 고삼투압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1980년대 중반 Ratio-3(6:2) 저삼투압 이온제재인 ioxglate(Hexabrix, Mallinckrodt)이 개발되었다. 이 제재는 dimmer 구조로 하나의 이온당 세 개의 iodine 원자를 가져 총 6개의 iodine 분자를 포함한다. Iodine 농도는 320 mgI/mL이고 삼투압은 혈액의 약 2배 정도로 고삼투압과 관련된 부작용을 상당부분 감소시켰다. 1980년대 후반에는 좀더 획기적인 저삼투압 비이온제재가 개발되었는데 이들은 전하를 띄지 않은 상태로 물에 용해되는 Ratio-3(3:1) 조영제로 각 분자당 3개의 iodine을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Iodine 농도는 320-370 mgI/mL이고 삼투압은 600-700 mOsm/kg로 혈액의 2-3배이다. 대표적인 제재로는 iopamidol(Isovue, Bracco), iohexol(Nycomed, Omnipaque), ioversol(Optiray), ioxilan(Oxilan, Cook) 등이 있다. 저삼투압 조영제가 도입되면서 과거 고삼투압 제재에 비해 서맥, 저혈압의 발생빈도 및 오심, 열감 및 흉통 등의 빈도가 감소하였다. 최근에는 삼투압이 혈액과 동일한 제재로 Ratio-6(6:1) 조영제가 쓰이고 있다. 이들 제재는 한 분자당 6개의 iodine 원자를 갖는 구조로 iodine 농도는 320 mgI/mL, 삼투압은 290 mOsm/kg이고 대표적인 제재로 iodixanol(Visipaque, Nycomed)가 있다.
1.4. 조영제의 분류
1.4.1. 음성 조영제
음성 조영제는 선이 주위 조직보다도 투과하기 쉽고, 물리적으로도 밀도가 낮은 기체인 공기·탄산가스·산소 등이 사용된다. 기복·후복막·종격·뇌실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소화관·관절 등에서는 2중의 대조도를 얻기 위해 양성조영제와 동시에 사용한다.
공기와 같은 음성 조영제는 X선이 주위 조직보다 잘 통과하여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복, 후복막, 종격동, 뇌실 등의 공간에 주입하여 X선 검사를 하면 해당 공간의 구조를 잘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