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neumomediastinum originating in the perinatal period"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신생아 pneumomediastinum의 정의 및 발생 원인
1.2. 연구의 필요성
2. 본론
2.1. 사례 연구 개요
2.1.1. 사례 선택 동기
2.1.2. PBL을 통한 간호사례 연구
2.2. 진단 검사 결과 분석
2.3. 약물 투여 현황 및 효과
2.4. 이론적 배경 및 개인 사례와의 비교
2.5. 간호 과정 적용
2.5.1.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손상 예방
2.5.2. 소변 및 대변 접촉으로 인한 피부손상 관리
3. 결론
3.1. 간호실습의 느낀 점
3.2. 향후 발전방향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신생아 pneumomediastinum의 정의 및 발생 원인
신생아 pneumomediastinum은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폐포나 세기관지의 일부가 터져 공기가 늑막강 내로 유출되어 생기는 것이다. 신생아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폐포나 세기관지가 쉽게 파열될 수 있다. 첫째, 신생아의 폐는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폐포와 기관지의 강도가 약하다. 둘째, 출산 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폐포나 세기관지가 파열될 수 있다. 셋째, 호흡곤란이나 심폐소생술과 같은 치료 과정에서 폐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폐포나 세기관지가 파열될 수 있다. 넷째, 선천성 기형이나 폐질환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폐포나 세기관지가 취약해져 파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신생아기에 pneumomediastinum이 발생할 수 있다.
1.2. 연구의 필요성
이 신생아는 NICU를 실습하기 전에 방문했던 군산의료원에서 태어난 아기로, 같이 실습했던 다른 학교 친구들에게 이야기를 들은 후 자신이 실습했던 곳에서 태어난 아기라서 궁금하고 애착이 가기도 했다. 또한 면회 시간에 어머니가 아기를 보며 우는 모습을 보게 되어 정서적 지지와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에 결정하게 되었다. 이 아기는 38+3주로 태어나 TTN과 Pneumothorax를 앓고 있어 간호를 아기의 상태에 맞게 잘 적용해준다면 예후가 좋아질 수 있다고 배워서 사례에 대해 연구해보고 싶었다.
이 아기는 38+3주라는 미숙아로 태어나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과 Pneumothorax를 앓고 있으며, 실습 전부터 궁금증과 애착이 생겼고, 면회 시 어머니의 정서적 반응을 보며 관심과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 또한 미숙아의 상태를 고려한 간호 적용이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에 이 사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신생아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미숙아의 폐질환 관리와 간호중재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사례 연구 개요
2.1.1. 사례 선택 동기
이 아기는 NICU를 실습하기 전 방문했던 군산의료원에서 태어난 아기이기에 궁금하고 애착이 가는 대상이었다. 또한 면회 시간에 아기의 어머니가 우는 모습을 보며 정서적 지지와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에 이 사례를 선택하게 되었다. 더욱이 이 아기는 38+3주 미숙아로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과 Pneumothorax를 앓고 있어 적절한 간호 제공 시 예후가 좋아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아기의 상태에 맞는 간호를 제공하고자 사례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1.2. PBL을 통한 간호사례 연구
진○○ 환아는 38+3wks로 C/Sec하여 태어난 singleton인 male이었다. 군산의료원에서 태어났으며 태어났을 때 crying이 없자 자극을 계속적으로 하였으며 산소를 주입해주고 양압 환기를 해주었다. 군산의료원에서 태어나 NICU의 격리실로 입원을 하였고 신체사정 시 한쪽 발바닥이 심하게 멍들어 있었으며 9:30Pm에 chest retraction이 mild하게 나타났다. Fi02:0.21, PEEP:5cmH20, IT:0.3로 Nasal CPAP를 연결해주었으나 9:40Pm에 빈 호흡이 관찰되면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나타났고 산소공급을 한 후 산소포화도를 측정한 결과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계속적으로 나타나 인공호흡기 setting의 설정 값을 PEEP( 5->7)cmH...
참고 자료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김강미자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은옥 외
기본 간호학/수문사/길숙영, 김매자, 김순자, 외
간호진단과 간호 중재/ 청문사/ 대한 간호협회 서울시지부 학술 위원회
아동건강간호학1/군자출판사/Adele Pillitteri 김희숙 외 9명 옮김
김옥숙 외 (2012) 성인간호학 I 수문사
김미예 외 공저(2010),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수문사
김미예 외 공저(2010),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수문사
김영혜 외 (2014)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김정애 외 (2013) 진단검사와 간호 수문사
임경춘 외 (2012)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송경애 외(2012)공저. 기본간호학I. 수문사
송경애 외(2012)공저. 기본간호학II.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