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론, 본론, 결론의 형태로 재산분할청구권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
2.2. 재산분할청구권과 위자료 청구권의 관계
2.3. 재산분할청구권의 대상
2.3.1. 부부 공동 재산
2.3.2. 부부 일방의 특유 재산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혼을 한다는 것은 부부관계를 해소하는 것으로 부부가 형성했던 가족관계를 청산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부부가 함께 이룩한 공동의 재산을 분할해야 하는 과제도 남긴다. 결코 쉽고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게다가 혼인관계를 해소하고 이혼을 하기로 결심한 부부는 이미 감정의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산 분할을 둘러싸고 치열한 다툼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실제로 이혼을 하는 부부들 중에서는 합의 이혼을 하기로 하였으나 재산 분할 과정에서 다툼이 발생해 재판 이혼으로 전환하는 부부도 적지 않다. 그만큼 재산분할과 관련된 문제는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한다.
2. 본론
2.1. 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
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민법 제839조의2에 따르면 협의 이혼을 하는 자는 상대방에게 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다. 즉, 재산분할청구권은 이혼 시 부부 사이에 발생하는 권리이다. 이는 부부가 정상적인 혼인 관계를 유지할 때는 존재하지 않다가 이혼할 때 비로소 생기는 권리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민법상 재산분할청구권은 협의 이혼에서 규정되고 있지만, 재판상 이혼에도 이를 준용하므로 협의 이혼이든 재판 이혼이든 모두 재산분할청구권이 발생한다. 또한 민법 제839조의2 제2항에 따르면 부부 사이에 재산 분할에 관한 협의가 되지 않거나 협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
참고 자료
민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홈페이지; 이혼; 재산분할청구권의 개념
대법원 1993.5.11.자.93스6 결정, 재산분할
민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민법
홍문사, 지원림, 2020.2.20. 민법강의 제17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