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정과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수학교육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론적 근거(인지적 구성주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표상 이론, 다중지능 이론)를 중심으로 해결방법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동수학교육의 이론적 기초
2.1. 인지적구성주의
2.2. 사회적구성주의
2.3. 다중지능이론
2.4. 정보처리이론
2.5. 브루너의지식 표상이론
2.6. 뇌 기반 과학적 접근이론
3. 적용하고 싶은 이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은 자신만의 교육방식으로 사고를 지각하고 판단하는 자율적인 존재이다. 즉, 다른사람에게 의존하는 존재가 아닌 스스로 발달하는 능동적인 존재인 것이다. 아동은 호기심과 탐구심이 많아 수학교육이 아동의 인지적 지능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준다. 아동기에 수학교육은 아동이 사물을 조작하고 탐색함으로써 숫자를 이해하는 기초능력인 비교하기, 분석하기, 분류하기 능력과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는 능력 등을 발달시킨다. 이처럼 아동수학교육은 사회적 발달과정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끼치는 종합적인 학문이면서, 아동기에 단순계산보다는 복합적 사고능력을 키울수 있다.
2. 아동수학교육의 이론적 기초
2.1. 인지적구성주의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유아는 자기자신과 사물과의 관계 이해,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이해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물을 조작하는 탐구활동을 하면서 유아의 적극적인 탐구활동결과로 인해 형식적 교육이 이루어지기 전에 많은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즉, 유아는 자신과 주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피아제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지적능력발달이 양적인 문제가 아닌 생각하는 방법에서 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유아의 수학교육에 있어서도 유아가 직접 사물을 조작하고 탐색하면서 수학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사회적구성주의
사회적구성주의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 학습이 현실에 대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는 이론이다. 대표적인 사회적 구성주의자인 비고츠키(Lev Vycotsky, 1896-1934)는, 아동의 사고와 의미 형성은 자신들이 처해있는 환경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드러난다고 설명한다. 즉, 아동의 시직 형성이 사회적 관계 즉 교사, 동료, 부모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발...
참고 자료
김민경, 홍혜경, 이지현, 이정욱, 유아수학교육의 탐구, 교우사, 2006
영유아 수.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8
구글
아동 수학 지도-교안
중앙일보-브랜드뉴스 https://www.joongang.co.kr/article/17138
계영희,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수학적 이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https://www.reportshop.co.kr/socials/1596013
https://www.joongang.co.kr/article/17138
https://blog.daum.net/cmy106/1813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