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초급 교안 취미 어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재의 중요성
3. 초급 교육
3.1. 초급 한국어 교재의 특성
3.2. 초급 교재의 문화 항목
4. 중급 교육
4.1. 중급 교재의 특성
4.2. 중급 교재의 문화 항목
5. 언어와 문화의 관계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류 열풍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급증하고 다변화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고 있다. BTS의 『 Learn Korean with BTS』 교재는 일 년만에 전 세계 30개 국가에서 약 30만 권이 판매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어 교사와 교재 개발자에게는 교재의 분석과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교재의 평가 기준을 정리하고 BTS의『 Learn Korean with BTS』 교재를 평가 기준에 맞춰 분석하고자 한다.
2. 한국어 교재의 중요성
한국어 교재의 중요성이다. 오늘날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뿐만 아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에게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사들은 한국어 교재를 활용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수준과 필요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과 한국어 교육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여 학습하거나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 초급 교육
3.1. 초급 한국어 교재의 특성
초급 한국어 교재의 특성이다. 초급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기초적인 언어 지식을 다루고 있다. 알파벳, 발음, 기본 문법, 어휘 등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함에 있어서 이를 기반으로 문장을 만들고 대화를 나누는데 필요한 언어 능력을 키우는 것이 목표이다. 듣고 말하기에는 일상생활, 쇼핑, 건강, 음식, 인간관계, 날씨와 계절, 여행, 공공장소, 길 찾기, 취미 등의 부분을 다루고 있다. 학습자들이 한국으로 여행을 오거나 한국에서 거주를 할 때에 살아남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을 배우게 된다. 읽고 쓰기에는 ...
참고 자료
교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김호정, 강남욱. (2013). ‘한국어 교재 평가 항목의 설정을 둘러싼 개념과 원리’. 『국어교육』 Vol.143. pp.381~414.
문완식. (2021). ““BTS 영상으로 즐겁게 공부” 방탄소년단 교재 사용 한국어 학습자 78% ‘만족’.” 『스타뉴스』. 2021.04.22. 발행. [URL: https://m.star.mt.co.kr/view.html?no=*************365852&ref=] 2022.03.10. 접속.
이해영. (2001).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 Vol.12(1). pp. 199-232.
허용 외. (2020).『 Learn Korean with BTS』. 빅히트에듀.
경희 한국어 교재 참고
강아영 (2010), 한국어 문화 교재 분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세종한국어 1~8권 E-book, 세종학당재단
조항록 (2021), 외국인을위한 한국문화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