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치 권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치 권력의 특징
2.1. 중앙은행의 탄생과 국가 재정의 관계
2.2.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관계의 복잡성
2.3.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중앙은행과 정부 간의 갈등
2.4. 중앙은행과 정부 간의 권력 구조에 대한 분석
3. 중앙은행과 정부의 협력 필요성
4. 대한민국의 권력구조
4.1. 대한민국 권력구조의 역사적 변천과 그 특징
4.2. 대한민국 권력구조의 핵심과 그에 대한 논쟁
4.2.1. 대한민국 대통령제의 문제점
4.2.2. 국회의원 대표성과 선거제도의 문제점
4.2.3. 헌법 개정의 논의
4.2.4. 여러 가지 개헌의 가능성
5. 대한민국의 국가발전과 권력구조의 적합성
5.1.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
5.2. 분단현실과 미래 통일을 고려한 헌법 개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관계는 현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복잡성은 경제 정책의 효과성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기관으로, 물가 안정, 통화 공급 조절,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은 경제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인플레이션과 실업률과 같은 거시경제 지표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독립적인 중앙은행은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워 장기적인 경제 안정성을 목표로 하는 통화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경제 주체들에게 신뢰를 주고, 인플레이션 기대를 낮추며,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하지만 정부는 재정 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과 충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현대 경제 체제에서 중앙은행과 정부의 역할은 상호 보완적이며, 이들의 협력은 경제 안정성과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2. 정치 권력의 특징
2.1. 중앙은행의 탄생과 국가 재정의 관계
모든 중앙은행의 탄생은 국가의 재정적 요구와 필요에 따라 정치적으로 결정된 결과물이다. 중앙은행은 국가의 경제적 안정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국가가 전제되어야만 그 존재가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앙은행의 기능과 목적은 국가의 정책 목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전쟁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영란은행(Bank of England)은 1694년에 설립되었으며, 이는 프랑스와의 전쟁을 위한 재정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결정이었다. 당시 영국은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인해 심각한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었고, 윌리엄 3세 정부는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중앙은행의 설립을 필요로 했다. 영란은행은 정부에 전쟁 자금을 빌려주는 대가로 의회의 특별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는 중앙은행이 국가의 재정적 요구에 어떻게 부응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영란은행을 본 떠 만든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는 제1차 미국은행과 제2차 미국은행의 두 차례의 중앙은행 설립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들 은행 역시 전비 조달과 국가 재정의 필요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중앙은행의 존재가 국가와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는 사실을 나타낸다. 특히 전쟁 수행을 위한 재정적 필요는 중앙은행의 설립과 운영에 있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즉, 중앙은행의 존재이유(raison d'Etat)는 국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앙은행과 전쟁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은행의 설립은 국가가 전쟁 수행을 위한 재정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했던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중앙은행은 국가의 존재와 기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그 역할과 책임은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2.2.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관계의 복잡성
정부와 중앙은행의 관계는 '양경반조(兩鏡返照)'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거울이 무한히 서로의 모습을 비추며 깊이를 더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의 역사를 조명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정책과 기능을 깊이 있게 사유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중앙은행은 '국가의 신경망'이라 할 금융레짐을 관리하는 중추기구이다. 중앙은행은 민주화의 산물로서 현대 금융 시스템의 중심에 있지만, 그 존재는 자본주의와 시장 원리에 의해 점점 더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유권자에게 책임을 지는 존재로서,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는 단기적 정책을 선호하게 마련이다. 이는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과 통화 정책의 일관성을 추구하는 장기적 목표와 상충할 수 있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모두 민주화의 산물이지만, 오늘날에는 시장 원리, 즉 자본주의를 금과옥조로 여기고 있다. 현재 민주주의는 선거에 책임을 지는 정부의 몫이며, 정부가 경제 민주화나 관치 금융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유권자의 표를 의식하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는 정치적 대표성과 책임을 강조하며, 정부는 유권자의 표를 위한 정책 결정을 내린다. 반면, 중앙은행은 정치적 압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통화 정책을 수행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그러나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중앙은행은 국가의 소유물로 간주되며, 공공의 이익을 위해 운영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제적 불평등 현상을, 정치인들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표자로서 견제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경제적 불평등은 사회적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될 경우, 정치적 참여와 민주적 과정에 대한 신뢰가 감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제한하려 하거나 통화 정책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중앙은행의 기능과 신뢰성을 위협하게 된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두 기둥이지만 서로 이질적이어서 충돌하기 쉽고, 이는 정부와 중앙은행 간 갈등의 뿌리가 된다. 결국, 정부와 중앙은행 간의 관계는 서로...
참고 자료
황의관. (2024).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공법적 고찰. 법조, 73(3), 398-433.
최용주. (1998). 정치와 미디어의 권력관계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42(3), 209-239.
이 원 영, 패권국 통화 정치 연구- 역플라자 합의를 중심으로 -,2018
변영학. (2009). 동남아시아 금융레짐의 정치경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의 중앙은행 비교연구. 한국동북아논총, 14(4), 151-180.
박종호. 미국의 통화정책 충격이 원유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2, 23.2: 315-321.
송종운. (2011).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치경제학: 1951년 재무부-연방준비제도 합의와 단기국채매입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주의 연구, 8(3), 221-248.
강상호, 2009. “한국정치와 권력구조의 선택,” 한국학술정보(주)
박호성 외, 2002. “한국의 권력구조 논쟁 III - 한국형 권력구조의 모색,” (서울:인간사랑) pp.15-280.
조일현, 2004. “미래 한국의 권력구조,” (서울:리북), pp12-30, 183-283.
진영재 외, 2013.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파주:나남), pp.15-326.
강원택, 2009. "제2공화국 내각제의 불안정에 대한 정치제도적 평가,"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0집(1호), pp.45-70.
권혁, 2007. "한국 대통령제의 평가와 발전적 제도화의 모색," 한국정치연구, 제16집(1호), pp.141-166.
김형철 외, 2012. “대통령제와 연립정부:제도적 한계의 제도적 해결,”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1호), pp.89-112.
박상철, 2008. “권력구조의 개헌쟁점과 민주주의 논쟁,” 정치정보연구, 제11집(1호), pp.213-230.
서기준, 2008. “한국 정치권력구조의 문제점과 개편방안에 관한 근본원리적 접근,” 한국동북아논총, 제46집, pp.83-108.
양동훈, 1999. “한국대통령제의 개선과 대안들에 대한 재검토,” 한국정치학회보, 제33(3호), pp.91-109.
윤기석, 2007. “우리나라 권력구조 개편의 함의와 방향,” 사회과학연구, 제18권(1호), pp.43-66.
이기우 외, 2008.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과 책임,” 한양법학, 제22집, pp.53-76.
이상명, 2011. “현행 정부형태의 문제점과 헌법개정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 제33집, pp.669-683.
이상묵, 2008. "한국의 권력구조 변화의 원인분석," 한국정치연구, 제17집(1호), pp.59-85.
이한태, 2010.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법학연구, 제21집(2호), pp.55-93.
임지봉, 2012. "유신헌법과 한국 민주주의," 공법학연구, 제13권(1호), pp.183-201.
정철, 2012.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법학논총, 제25집(2호), pp.165-203.
조성호, 2011. “한국 지방자치의 당면 과제,” 이슈&진단(1호), pp.1-24.
진영재 외, 2009. “‘한국적 권력구조’의 기원적 형태:대한민국 임시정부(1919년~1945년)의 헌법 개정과 권력구조 변천사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2호), pp.25-49.
최한수, 2005. "한국 역대정권의 대통령제 권력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제13집(제2호), pp.29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