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적혈구 관찰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현미경 관찰과 세포 크기 측정
1.1. 현미경 배율 원리
1.2. 세포 크기 측정 원리
2. 적혈구 구조와 기능
2.1. 사람의 적혈구 구조 변화
2.2. 어류 적혈구의 특징
3. 세포 고정 기법
3.1. 세포 고정액의 특성
4. 어류 적혈구 관찰 실험
4.1. 실험 목적
4.2. 실험 방법
4.3. 실험 결과
4.4. 실험 결론
5. 혈구 세포 관찰
5.1. 혈구 세포 관찰 방법
5.2. 혈구 세포 관찰 결과
6. 혈액형 판정
6.1. ABO 혈액형 판정
6.2. Rh 혈액형 판정
7. 혈액의 구성 및 기능
7.1. 혈장의 구성과 기능
7.2. 혈구 세포의 종류와 기능
7.3. 혈소판의 기능
8. 항원-항체 반응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미경 관찰과 세포 크기 측정
1.1. 현미경 배율 원리
현미경의 렌즈는 접안렌즈와 대물렌즈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접안렌즈는 10배, 대물렌즈는 렌즈마다 적혀 있는 배수만큼 확대되어 보인다. 그래서 현미경의 배율은 (접안렌즈의 배율) × (대물렌즈의 배율)이다. 예를 들어, 접안렌즈가 10배, 대물렌즈가 40배인 경우 현미경의 최종 배율은 10 × 40 = 400배가 된다. 이와 같이 현미경의 배율은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최종 배율을 구할 수 있다.
1.2. 세포 크기 측정 원리
세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세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렌즈에 자를 대어 확인한다. 접안렌즈에 부착하는 대안 마이크로미터자와 대물렌즈에 부착하는 대물 마이크로미터자가 있다. 대안마이크로미터자의 눈금은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한 칸의 크기가 달라진다. 반면 대물 마이크로미터자의 눈금 한 칸은 10㎛로 정해져있다. 즉 대안 마이크로미터자의 한 눈금은 (대안 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 = 10㎛ ×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금 수) /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눈금 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 적혈구 구조와 기능
2.1. 사람의 적혈구 구조 변화
사람의 적혈구는 초기에는 핵이 있지만 성숙하면서 점점 핵이 소실된다. 이는 핵이 없어짐으로써 그만큼 더 많은 헤모글로빈을 적혈구 내에 축적할 수 있고 표면적도 늘릴 수 있어 적혈구의 역할인 물질운반기능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적혈구에서 핵이 소실되면 물질 운반 능력이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2.2. 어류 적혈구의 특징
어류의 적혈구는 사람의 적혈구와는 다르게 핵을 가지고 있다"" 즉, 어류는 포유류보다 덜 진화한 형태의 적혈구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의 적혈구는 성숙하면서 핵이 소실되는데, 이는 핵이 없어짐으로써 더 많은 헤모글로빈을 축적할 수 있고 표면적도 늘릴 수 있어 물질 운반 기능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반면 어류의 적혈구에는 핵이 있기 때문에 산소 등 물질 운반에 있어 사람의 적혈구보다 불리할 수 있다"" 하지만 어류 적혈구의 나머지 특징으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타원형 모양이며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이 있다""
3. 세포 고정 기법
3.1. 세포 고정액의 특성
세포 고정액은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도록 세포를 죽이지 않고 세포의 구조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세포가 파괴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이다. 세포 고정액은 세포에 빠르게 침투하여 세포를 죽이지 않아야 하며, 삼투압과 pH를 세포와 비슷하게 하여 세포가 쭈글쭈글해지거나 팽창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4. 어류 적혈구 관찰 실험
4.1. 실험 목적
어류의 적혈구를 관찰해 봄으로서 현...
참고 자료
부경대학교 동물학 및 실험 강의 - 2017.3.29.
고등셀파 생명과학2, 천재서적, 세포의 크기와 모양
아주대학교 교수, <생물학 실험 제6판>, 아주대학교출판부, 경기도 수원, 2004년 출판 77~79p
박은주 외3인, <기본적인 인체 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2013년 출판, 244~245p
두산세계대백과
이병언, , 두산, 2002년도 출판. 2~ 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