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국 산업용 로봇 사망률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산업혁명의 역사와 특징
3.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4.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 변화 전망
5.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간호사 역할 개발 및 발전 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존하는 인류 '호모사피엔스'가 나타난 이래로 농경 중심의 사회가 도래하였으며, 18세기의 제1차 산업혁명을 시발점으로 현대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제1차 산업혁명은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된 기계 혁명으로, 가내 수공업에서 공장 중심의 생산체제로 변화되었다. 이후 전기 동력의 등장으로 분업과 대량생산에 주력하게 된 제2차 산업혁명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거쳐오고 있다. 이러한 단기간의 산업혁명은 개인의 삶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 사회구조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은 또 다른 산업혁명을 초래하고 있으며,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일자리 변화 전망이 발표되면서 학자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 AI로 대체되기 어려운 인력인 간호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2. 산업혁명의 역사와 특징
산업혁명은 농경중심 사회에서 산업 중심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크게 4차례의 변화를 겪어왔다. 첫 번째 산업혁명은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기계화 혁명으로, 가내수공업에서 공장 중심의 생산체제로 전환되었다. 이를 '에너지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전기동력 기반의 제 2차 산업혁명이 이어졌고,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혁명'이라 불리는 제 3차 산업혁명이 뒤를 이었다.
현재는 컴퓨터, 인터넷, 정보통신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물리적, 디지털, 바이오 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제 4차 산업혁명이라 부르며, 초연결성과 초지능화가 특징이다. 즉, 모든 사물과 사람이 연결되고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술 및 산업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단기간에 일어난 산업혁명은 개인의 삶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현재 진행 중인 제 4차 산업혁명 또한 일자리와 직업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특징
제4차 산업혁명은 현시대의 자동화, 데이터 교류 및 제조 기술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이버- 물리 시스템, 사물인터넷, 인터넷 서비스들을 함께 포괄하는 '기술과 가치 사슬(Value- Chain) 개념에 대한 총칭'이다. 또한 "보다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물리적(physical), 디지털(digital), 바이오(bio)기술이 결합된 훨씬 ...
참고 자료
https://www.yna.co.kr/view/AKR*************0530?input=1195m
https://www.news1.kr/articles/?3758431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20/*************.html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3/*************.html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30160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7/2019090700374.html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640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10/*************.html
https://news.mt.co.kr/mtview.php?no=*************577211
http://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39765
김광점, 장보윤, 정재연, 박오원. (2018).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인적자원개발연구, 21(3), 137-159.
Christensen, C. M., Grossman, J. H., & Hwang, J. 2010. 파괴적 의료혁신(배성윤, 역). 서울: 청년의사. 2009.
유정아(2019).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의 방향탐색: IPA를 활용하여. 한국정보교육학회. 23(6), 675-687.
전혜진(2019). 시나리오 기반 간호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가상현실 활용 및 발전방안 탐색: 통합적 고찰.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7(1), 45-56.
기영화(2018).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 교육문화연구. 24(3), 65-86.
김자미(Kim, Ja-Mee), 구양미(Gu, Yang-Mi) , 이원규(Lee, Won-Gyu). (2015).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육연구, 25(4): 293-320.
빅데이터가 만드는 제 4차 산업혁명_북카리반_김진호 저자_2016
4차 산업혁명시대 전문직의 미래 리처드 서스킨드, 대니얼 서스킨드_
간호학 개론_수문사_ 고명숙 민순 외_2017
주요국 제4차 산업혁명 추진 전략 동향_노유나_전자통신동향분석 제32권 제2호_2017년 4월
http://www.newshankuk.com/news/content.asp?news_idx=201704241344281735(뉴스한국뉴스 2017.04.24. 저출산·고령화·4차 산업혁명… 10년간 의료·보건·IT 일자리 증가)
http://dailymedi.com/detail.php?number=792287 (데일리 메디_가치 급부상 ‘빅데이터’…병원들 활용 '분주')
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_보건산업진흥원_정현학, 최영임, 이상원_2016.02.23.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_김진하_KISTEP 부연구위원_p.45~57
간호전문직 자율성(Professional Nurse Autonomy)의 개념분석_지성애, 유형숙_대한간호학회지 제3 1권 제5호_p.782~792
간호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분야별 간호학회지를 중심으로_김소야자, 김귀분 외_대한간호학회지 제3 2권 제1호_p.116~130